뷰페이지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금기의 태교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금기의 태교

입력 2011-12-05 00:00
업데이트 2011-12-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가, 애기 놀랜다. 추진 데 앉지마라.” 김장을 한다며 식구들이 마당에서 부산을 떨 무렵, 방문을 나서던 할머니가 마당 한켠의 젖은 짚섶에 앉아 푸성귀를 손질하던 며느리를 보고 놀란 듯 타박하십니다. 눈에 넣어도 안 아플 맏아들의 반려인 며느리가 볼수록 진중하고 예의 발라 “어디서 저런 복덩이가 생겼을까.” 싶은데, 거기다 애까지 들어섰다니 자다가도 생각하면 꼭 잃어버린 살붙이 찾은 것만 같고 그렀답니다. 그런 며느리가 찬이슬 젖은 짚섶을 깔고 앉아 허드렛일을 하는 게 마뜩잖았겠지요.

 요새야 많이 잊혀졌지만 예전엔 애 가지면 가리는 게 많았습니다. 돼지나 닭 잡을 땐 곁에 있지도 못하게 했고, 혹여 누가 대거리라도 하면 곁눈질도 하지 말고 그냥 지나치라고 했습니다. 김치도 줄거리 죽죽 찢어 먹지 말고 도마 위에 올려 각지게 잘라서 먹고, 생선도 흰 속살만 발라 먹으라고 했지요. 부엌에 군불을 지필 때도 쪼그려 앉지 말고 모탕이라도 가져다 궁둥이를 얹어야 했고, 내력 모르거나 허접한 음식은 입에 대지도 못하게 했습니다. 그 뿐이 아닙니다. 출산일이 가까워지면 측간에 깨끗한 등겨를 두툼하게 깔아 더러운 것을 감추기도 했습니다. 한날, 동네에서 초상이 나 새벽부터 곡성이 들리자 할머니는 아예 보따리를 싸 며느리를 작은 집으로 내려보내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당부를 잊지 않습니다. “작은 집에 가 있다가 출상 마치면 와라. 이웃 상이라 집에 있으면 얼굴이라도 내밀어야 하는데, 넌 홀몸도 아니니 도리읎다.”

 그렇게 얻은 손자가 필자의 형입니다. 그런 내력을 어머니로부터 들으며 자란 형, 다른 건 몰라도 부모 공양은 잘해 임종도 했고, 제사도 꼬박꼬박 챙기며 삽니다. 한 인간의 자질이나 품성이 어떻게 형성되는 것인지는 아직도 미지의 영역입니다. 그러나 후천적인 학습이나 교육이 인간의 정형화에 유효하다면, 태교는 한 인간의 삶에 있어 매우 의미있는 조적(組積)의 시작임이 틀림없다고 여겨집니다. 태교 무용론이 없지 않지만, 태아의 성장이 조건의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그것과 별로 다르지 않다면 생각하고 행동하는 틀을 갖추는데 엄마만큼 중요한 존재가 없을테니까요.

 jeshim@seoul.co.kr



2011-12-05 24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