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2~3㎏ 결석 어떻게

[굿모닝 닥터] 2~3㎏ 결석 어떻게

입력 2011-06-06 00:00
업데이트 2011-06-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4월의 일이다.

40대 부부가 병원을 찾았다. 한눈에 건강해 보였는데, 얼마 전 뜬금없이 고열과 함께 아내의 옆구리가 아프기 시작하더란다. 하루 이틀 쉬면 낫겠거니 싶어 약국에서 해열제를 사먹었는 데도 열과 통증이 더 심해지더란다.

참다 못해 가까운 동네 병원에서 초음파검사를 했더니 신장에 주먹만한 돌이 있더라는 것이었다. 환자는 그동안 아무런 증상도 없었다며 황당하다는 표정을 지었다.

요로결석은 대부분 작은 결석이 신장에서 요관을 타고 내려가면서 요관의 점막을 자극, 급성 통증을 유발한다.

요로 결석은 당연히 통증을 일으킬 거라고 생각하지만 결석이 신장에 있을 때는 거의 통증이 없다. 따라서 요로결석이 있어도 무증상일 수 있고, 감염으로 열이 나면서 발견되는 경우도 많다.

간단한 CT와 X레이로 환자 상태를 살펴본 필자는 깜짝 놀랐다. 한쪽도 아니고 양쪽 신장에 어린이 주먹만한 결석이 박혀 있었다. “이걸 몸안에 담고 어떻게….” 싶을 만큼 큰 거대결석이었다.

아마 이 결석으로 환자 체중이 2~3㎏은 불었을 것이다.

물론 작은 결석은 자연스레 소변에 얹혀 빠져 나오기도 하지만 이처럼 큰 결석은 신장 기능 저하나 감염 등이 우려돼 반드시 제거를 해야 한다.

결석이 워낙 큰 탓에 체외충격파로는 어려울 것 같아 수술을 결정했다. 수술이라고 예전처럼 신장을 절개하는 대수술은 아니다.

내시경을 이용하면 흉터를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결석을 제거할 수 있다.

이 환자의 경우 내시경을 옆구리를 통해 신장에 접근시켜 결석을 제거하려 했으나 너무 커 2차례나 결석제거술을 시행했다. 아직도 기억이 새롭다.

돌이 너무 커 아침 일찍 시작한 수술을 늦은 오후에야 끝냈다.

환자는 꼬박꼬박 건강검진을 받았다지만 신장 검사는 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이형래 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 교수
2011-06-06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