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상 가장 춥다는 ‘소한’...꽁꽁 언 ‘폭포’

절기상 가장 춥다는 ‘소한’...꽁꽁 언 ‘폭포’

류정임 기자
입력 2022-01-05 14:28
업데이트 2022-01-05 14: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한(小寒) 때가 대한(大寒) 때보다 춥다는 속설이 있다. 과거 기온을 보면 소한 때 강추위를 맞은 이들의 ‘엄살’로 여겨지지만, 기후변화로 점차 ‘사실’이 되고 있다.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된 1973년부터 지난해까지 49년간 소한과 대한 전국 평균기온을 비교하면 소한 때가 대한 때보다 기온이 낮았던 적은 25번이고 반대인 경우는 24번으로 사실상 ‘무승부’였다.

평균기온이 영하인 적은 소한과 대한 모두 28번으로 같았다.

원래 가장 추워야 할 때는 연중 낮은 제일 짧고 밤은 제일 긴 동지(冬至) 때다.

일조시간과 일사량이 가장 적기 때문이다.

다만 땅이 식는 시간이 있어 보통 동지에서 약 3주 지난 소한과 대한 사이 때가 가장 춥고 그러다 보니 ‘소한 때가 제일 춥다’라는 인식이 생긴 것이다.

소한보다 보름 늦은 대한 때는 추위에 적응이 된 상태인 경우가 많은 점도 이러한 인식을 강화한 요인으로 보인다.

기후변화로 대한 때 기온이 오르면서 소한이 대한보다 춥다는 말은 점차 ‘사실’로 바뀌고 있다.

1973년부터 1999년까지 27년간 소한 평균기온이 대한보다 낮은 적이 11번이고 반대가 16번이다. 2000년부터 작년까지는 22년 중 14번 소한 평균기온이 대한보다 낮았고 반대의 경우가 8번이었다.

기상청이 작년 발간한 기후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1912~1940년은 대한 평균기온이 영하 2.1도로 소한 평균기온(영하 1.2도)보다 낮았으나 1991~2020년은 소한 평균기온(영상 0.8도)이 대한 평균기온(영상 0.9도)보다 낮았다.

대한 평균기온 상승 폭(3도)이 소한(2도)보다 컸기 때문이다.

앞으론 기온이 오르고 ‘겨울’이 사라지면서 소한과 대한 기온을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해질지도 모른다.

절기상 가장 춥다는 ‘소한’ 인 5일 강원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직탕폭포가 이어진 한파에 꽁꽁 얼어 있다.

온라인뉴스부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