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시장 안정세…추석 폐기물 정상처리

재활용 시장 안정세…추석 폐기물 정상처리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11-13 10:28
업데이트 2020-11-13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폐지 판매단가 4월 60원에서 10월 78원으로 상승
폐플라스틱 판매량 상승, 단가는 여전히 낮아

폐지·폐의류·폐플라스틱 등의 재활용 시장이 안정세를 찾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연휴 일시적으로 증가했던 재활용품도 정상 처리되고 있다.

환경부는 올해 10월 넷째 주부터 11월 첫째 주까지 주요 재활용 품목의 시장 상황을 분석할 결과 폐지는 수급이 원활해지고 판매 단가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 ㎏당 143원하던 폐골판지 가격은 올해 4월 60원까지 떨어진 후 10월 기준 78원까지 올랐다.

폐의류는 올해 4~5월 수출이 급감했으나 환경부의 공공비축사업에 따른 수출품 보관비용 일부 지원 등과 수출이 회복하면서 전반적으로 시장이 회복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판매량은 그간 환경부의 공공비축(11월 10일 기준 4177t)과 동절기 방한용품 수요 증가 등으로 지난해를 상회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다만 단가는 유가 하락 등으로 지난해보다 낮은 수준이다. 페트·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의 ㎏당 단가는 지난해 각각 850원·974원·751원을 기록했으나 올해 10월 기준 576원·817원·670원에 머물고 있다.

한편 추석 연휴 이후 일시적으로 증가했던 재활용품은 10월 말 기준 대부분 선별장에서 정상 반입처리 중이다. 전국 154개 민간선별장의 주당 반입량은 연휴 전주 2만 3555t에서 연휴 후 1주 2만 6846t, 연휴 후 2주 2만 8932t까지 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2만 3056t으로 정상화되고 있다. 연휴 기간 일시 수거 지연이 발생했던 수도권 일부 공동주택 단지도 정상 수거가 재개됐다.

환경부는 수거·선별·재활용 등 단계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필요시 업계 수익성 조번 등 지원방안 등을 추가로 강구할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