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생 영어 실력 뚝… 수능 영어 절대평가 탓인 듯

서울대생 영어 실력 뚝… 수능 영어 절대평가 탓인 듯

손지민 기자
입력 2022-02-14 17:52
업데이트 2022-02-15 0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급영어 수강 18~20학번 16%뿐
07~13학번 36.7%보다 크게 줄어

서울대 신입생의 영어 실력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가 2007~2020년 입학생 약 3만 5000명을 대상으로 대학영어 과목별 수강 인원을 분석한 결과, 2007~ 2013년 입학생 중 36.7%가 ‘고급영어’ 과목을 수강했지만 2018~2020년 입학생은 16.2%만 수강한 것으로 14일 나타났다.

서울대는 대학영어를 교양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 입학 당시 텝스 성적(600점 만점)에 따라 ‘대학영어1’(298~386점), ‘대학영어2’(387~452점), ‘고급영어’(453점 이상) 중 한 과목 이상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고급영어(학술작문, 발표, 문학 등)는 영어 실력이 최상위인 학생만 수강할 수 있는데 10여년 전에 비해 수강생이 절반 아래로 줄었다.

반면 입학 시 텝스 성적이 297점 이하인 학생을 상대로 진행하는 ‘기초영어’(대학영어1의 선수과목)는 수강생 비율이 2007~2013년 8.3%에서 2018~ 2020년 28.8%로 크게 늘었다.

신입생의 영어 수준이 떨어진 배경을 놓고 전문가들은 2018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영어 영역이 절대평가로 전환된 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국어와 수학에 견줘 상대적으로 영어 공부 중요성이 떨어지면서 깊이 있는 영어 공부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한 서울대 교수는 “영어 원서를 읽고 문맥을 파악하는 등 영어 기초실력이 하락하다 보니 대학원에 입학해서 영어 원서로 진행되는 수업을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다”면서 “‘내가 이렇게 영어가 안 되는 줄 몰랐다’는 학생도 예전에 비해 늘어났다”고 말했다.

손지민 기자
2022-02-15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