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의 한국 인문학” … 제6회 세계인문학포럼 19일 개막

“코로나 시대의 한국 인문학” … 제6회 세계인문학포럼 19일 개막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0-11-18 16:58
업데이트 2020-11-18 17: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교육부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경상북도, 경주시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제6회 세계인문학포럼’이 19일부터 21일까지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6회를 맞이한 세계인문학포럼은 세계적인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여 인문학계의 담론의 장을 만들고, 한국 인문학의 세계화를 도모하는 국제 행사다.

이번 행사는 ‘어울림의 인문학 : 공존과 상생을 향한 노력’이라는 주제로 총 25개국 150여명의 국내외 석학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국내학자는 현장에서 참여하고 국외학자는 화상으로 참여하는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행사 첫날인 19일에는 김광억 서울대 교수와 로버트 버스웰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교수가 각각 ‘어울림에 대한 인문학적 단상’, ‘오늘날의 위축된 상상들을 넘어서 : 경주에서 베나레스에 이르는 불교 교류’라는 주제로 강연을 한다.

특히 첫날에는 ‘코로나19 이후 K-인문학’ 분과를 구성해 ‘K-민주주의’, ‘K-컬쳐’, ‘K-문학’등 코로나 시대의 한국 인문학에 대해 해당 분야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댄다.

둘째 날(20일)과 셋째 날(21일)에는 토비아스 블랭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교수의 ‘빅데이터 현황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데이비드 마틴 존스 영국 글래스고대 교수의 ‘동적인 유산: 관광에서 전승까지’ 강연이 열린다. 분과에서는 ‘성숙한 삶터로서의 인문도시’, ‘한국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석굴암을 다시 묻다’ 등 다양한 주제의 발표와 토론이 이어진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인문학을 통해서 우리 인류가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공존과 상생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라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