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대학 기여입학제에 국민적 저항·우려 있어”

황우여 “대학 기여입학제에 국민적 저항·우려 있어”

입력 2015-04-07 11:14
업데이트 2015-04-07 1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디오 인터뷰서 “급식비 납부 문제에서 학생들 보호해야”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7일 일부 사립대학이 희망하는 기여입학제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황 부총리는 이날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에 출연해 대학 기여입학제가 앞으로 공론화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기여입학제는 아직 국민 정서 등 큰 틀에서 신중히 접근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이 이익을 창출하는 여지를 넓혀주는 등 보완이 있어야지, 기여입학제로 바로 들어가는 것에 대해서는 국회 논의 과정에서 나타나듯이 많은 국민적 저항과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중앙대 등 서울지역 20여 개 대학의 총장들이 발족한 ‘서울총장포럼’은 정부가 사립대의 기여입학제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부총리는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대학이 학생을 선발할 자율권을 갖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해 “대학, 학생을 줄 세우는 방식에서 교육의 근본으로 돌아가자는 취지의 말씀”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대학별 본고사가 앞으로 허용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두고 “교육을 선진화하고 근본 철학에 맞는 방식으로 수능 논의를 해나가면 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황 부총리는 충암고 교감이 무리하게 학생들에게 급식비 납부를 독촉한 것을 두고는 “급식비를 내느냐, 안 내느냐는 부모와 국가, 학교의 관계이고 학생들은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충암고에 대한 진상조사를 실시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아직은 교육청에서 할 일이고 나중에 전국적인 문제가 되면 중앙에서 검토해볼 여지가 있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