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순위 매겨 대학 지원하는 韓정부 우려돼”

“순위 매겨 대학 지원하는 韓정부 우려돼”

입력 2014-01-15 00:00
업데이트 2014-01-16 1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여름 경희대 강의 ‘美 하버드대 스타교수’ 마이클 푸엣

“정부에서 대학을 평가하고 줄을 세우다니, 어떻게 그럴 수 있나요?”

마이클 푸엣(50) 하버드대 교수는 순위를 매겨 대학을 지원하는 교육부의 정책에 대해 “실망스럽고도 위험한 생각”이라고 우려했다. 정부가 대학을 평가하고, 대학이 교수들을 평가할 때 논문의 편수가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설명에도 고개를 가로저었다.

마이클 푸엣 하버드대 교수가 14일 순위를 매겨 대학을 지원하는 교육부의 정책에 대해 “실망스럽고도 위험한 생각”이라며 국내 대학평가의 문제점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마이클 푸엣 하버드대 교수가 14일 순위를 매겨 대학을 지원하는 교육부의 정책에 대해 “실망스럽고도 위험한 생각”이라며 국내 대학평가의 문제점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하버드대 동아시아 언어와 문명 학과장이자 중국역사학 교수인 푸엣 교수는 하버드대에서 5년에 한 번씩 전체 교수 중 5명에게만 수상하는 ‘최고의 교수상’을 지난해 5월 받았던 스타 교수다.

14일 경희대에서 여름 강의를 준비하기 위해 잠시 입국한 푸엣 교수를 만났다.

그는 “하버드대는 교수에게 논문을 많이 쓰라고 하지 않아요. 논문 편수로 어떻게 학자를 평가합니까. 어떤 교수의 연구는 일생에 걸쳐 진행되기도 합니다. 시간을 정해놓고 논문 몇 편을 써내라고 하는 건 ‘난센스’예요”라며 한국 대학 문화에 이의를 제기했다.

지난해 7월 경희사이버대 초청으로 ‘공부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특강을 했던 그는 한국 학생들에 대해 “너무 입시공부에만 몰두하는 것 같았다”면서 “배움과 학습은 다르다. 학자가 되려면 배움 자체를 사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가 중국역사를 배우게 된 이유도 그렇다. 중국의 역사를 배우는 게 너무나도 즐거웠고, 동아시아의 사상 속에 세계가 나아갈 미래에 대한 답이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그는 최근 문화강국으로 떠오른 한국을 주목하고 있다.

푸엣 교수는 “동아시아의 문명은 어느 나라보다 한국에 가장 잘 축적됐어요. 그러면서도 한국은 서구사회에 대한 수용도가 다른 나라에 비해 굉장히 높습니다. 과거의 수용과 미래의 유입이 적절히 조화된 나라라고 할 수 있죠. 한국에서 ‘문화’가 꽃을 피운 이유죠”라며 한국에 대한 극찬을 이어갔다.

그는 중국이 문화강국이 되지 못한 이유도 이런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푸엣 교수는 “중국의 진·한 시대에는 국가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운영하느냐, 어떻게 강력한 관료주의 체제를 유지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문제였어요. 마오쩌둥과 시진핑은 이런 관점에서 비슷하면서도 대조되는 인물입니다. 마오쩌둥은 국가를 성장시키기 위해 중국문화를 부정했죠. 반대로 시진핑은 국민들의 지지를 얻고자 과거를 복고하려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경제나 군사에서는 강국이 되고 있지만 마오쩌둥 시대의 문화 단절과 같이 문화의 융성을 막고 있어요”라고 주장했다.

푸엣 교수는 13일 ‘인터내셔널 스칼라’(IS) 제도에 따라 1년 계약으로 경희대·경희사이버대 전임교수가 됐다. 오는 6월 ‘동아시아 종교와 문화’를 주제로 한 달여 동안 학생들을 가르친다.

그는 “지난해 7월 한국을 방문했을 때 한국 학생들의 열정을 여전히 기억합니다. 자신의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고 보기 좋았습니다. 6월에 다시 이들과 만날 생각에 벌써부터 설렙니다”라며 활짝 웃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01-1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