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만점자에게 지방대 권유, 인생 망치는 건가요?”

“수능 만점자에게 지방대 권유, 인생 망치는 건가요?”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3-12-09 14:05
업데이트 2023-12-09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6일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올해 수능은 전국 84개 시험지구 1279개 시험장에서 실시됐다.  사진공동취재단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6일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올해 수능은 전국 84개 시험지구 1279개 시험장에서 실시됐다.
사진공동취재단
수능 만점자에게 지방대를 추천했다가 곤혹스러운 상황을 겪었다는 글이 화제다.

9일 소셜미디어(SNS) 등에서는 ‘수능 만점자에게 지방대학을 권했다가 벌어진 일’이라는 제목의 글이 회자했다. 이 글은 지난해 한 지역신문에 기고된 글이다.

글을 쓴 A씨는 “수능 만점을 받은 어느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과 점심을 먹을 기회가 있었다”며 “서울대 경영학과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과 부모에게 ‘그러지 말고 부산대학교에 입학원서를 넣어보는 게 어떻겠냐?’고 말했다”고 했다.

A씨의 말을 들은 일행들은 “무책임한 말”이라며 A씨를 타박했고, 학생도 당황스러운 기색을 지우지 못했다고 한다.

A씨는 “수능 만점자가 지방대학에 가는 것이 과연 인생을 망치는 일인지는 지금도 이해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그는 “‘말은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보내라’는 속담은 서울을 향한 우리의 열등의식이 얼마나 뿌리 깊은지를 보여준다”며 “서울 이외를 뭉뚱그려 ‘지방’이라 부르는 데서도 깊은 차별이 배어 있다. 서울은 늘 세련되고 앞서가며 지방은 늘 어리숙하고 투박하다는 식의 이분법이 우리 사회를 지배해왔다”고 했다.

A씨는 지방대를 권한 이유에 대해 “학생의 재능이 평범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며 “수능 만점자에게 지방대 진학을 권유한 본질은 경계를 뛰어넘는 지도자가 돼 서울과 지방의 벽을 허물어 달라는 당부를 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대학교에 진학해 서울에 뿌리내려 개인의 꿈을 이루는 것도 소중하지만, 수능 만점이라는 그 특별한 재능을 우리 사회를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데 활용해달라는 뜻이었다”며 “서울 대신 지방을 선택하라는 조언은 단순히 서울이냐? 지방이냐의 문제에 얽매이지 말고, 그 너머에 펼쳐질 장대한 비전을 봐달라는 의미”라고 했다.

이 글에 대해 누리꾼들은 ‘무책임한 발언’이란 지적과 반면, ‘충분히 고민할 부분’ 등의 상반된 반응을 내비쳤다.
문경근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