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경비대장 수색 나흘째 진전 없어

울릉경비대장 수색 나흘째 진전 없어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16-10-26 16:36
업데이트 2016-10-26 16: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종된 울릉경비대장을 찾기 위한 수색이 나흘째 이어지지만 진전은 없다.

경북 울릉경찰서는 26일 경찰·소방·산악구조대 인력 210명과 헬기, 수색견을 동원해 실종된 울릉경비대장 조영찬(50) 경정을 찾고 있다.

조 대장은 지난 22일 오후 1시 30분쯤 성인봉에 간다며 홀로 울릉읍에 있는 울릉경비대에서 걸어나간 뒤 연락이 끊겼다. 그는 당일 오후 2시 30분쯤 울릉경비대 소대장의 휴가 복귀 신고 전화를, 오후 6시 20분쯤 친구의 안부 전화를 받았다.

경찰은 월요일인 24일 조 대장이 출근하지 않자 오전 9시쯤부터 수색에 들어갔다. 그의 휴대전화는 23일 오후 7시 35분쯤 울릉읍 도동리 대원사에 있는 기지국에 마지막으로 신호가 포착된 이후 꺼졌다. 그는 이날 낮에도 전화를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지난 25일 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얼굴 사진과 인적사항을 담은 전단을 배포했으나 특별한 제보를 받지 못했다. 경찰 전단에 따르면 조 대장은 키 172㎝, 몸무게 90㎏ 정도로 체격이 큰 편이고, 안경을 쓰고 있다. 실종 당시 상의는 파란색 티셔츠에 갈색 점퍼, 하의는 카키색 바지를 입고 있었으며 옅은 남색 등산화를 신었다. 조 대장의 행방을 아는 이는 울릉경찰서(054-790-3229, 3329, 3238)나 국번 없이 112로 신고하면 된다.

경북경찰청은 이날 수색 인원을 10여명 추가한 데 이어 조 경정 가족과 실종전담팀 직원을 울릉도에 보냈다. 조 대장은 대구 수성경찰서 112상황실장으로 근무하다가 공모를 거쳐 지난 12일 울릉경비대장에 부임했다. 경북경찰청 관계자는 “현재 수색에 집중하고 있으며, 아직 단서가 될 만한 신고는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