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에겐 큰 기저귀, 피부 쓸려요” 간호사 진심에 ‘초소형 기저귀’ 나왔다

“미숙아에겐 큰 기저귀, 피부 쓸려요” 간호사 진심에 ‘초소형 기저귀’ 나왔다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4-01-22 14:44
업데이트 2024-01-22 14: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SBS 보도화면 캡처
SBS 보도화면 캡처
한국은 전 세계 최저 수준의 저출산 국가로 매년 출생아 수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지만 미숙아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아이가 워낙 작게 태어나다 보니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신생아용 기저귀는 너무 커 기저귀를 접거나 잘라 써야 하는 상황인데, 이러한 상황을 알게 된 한 기저귀 회사가 변화를 가져왔다.

22일 SBS에 따르면 생활용품 전문업체 유한킴벌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일하는 한 간호사의 메일을 받았다.

메일에는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는) 워낙 작아서 신생아용 기저귀를 자르거나 접어서 사용했는데 몸에 맞지 않아 피부가 쓸리거나 배설물을 잘 받아내지 못한다. 초소형 기저귀를 따로 생산해주면 어떠냐’는 내용이 담겼다.

고령 임신과 난임 등으로 엄마 뱃속에서 37주를 채우지 못하거나 2.5㎏ 미만으로 태어나는 미숙아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전체 출생아 중 미숙아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7년 6.2%에서 2019년 6.6%, 2021년 7.2%로 매년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대부분의 미숙아들은 태어나자마자 신생아집중치료실로 들어가는데, 이곳에서 일하는 간호사가 큰 기저귀로 힘들어하는 아기들을 위해 기저귀 회사에 메일을 보낸 것이다.

유한킴벌리 측은 두달에 한번 생산설비를 교체해 초소형 기저귀만 생산하기로 했으며, 2017년부터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NICU)과 자사몰 사이트를 통해 무상으로 지원해왔다. 지난 7년간 기저귀 500만장이 3만 3000여명에게 무상으로 지원됐다.

이하영 유한킴벌리 유아용품 담당은 SBS에 “생산성이 다른 제품 대비해서 한 30% 낮고 품질 관리 측면에서 여러 수고로움이 감수가 돼야 하는 제품”이라면서도 “이른둥이 돌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확산하는 목적이 가장 크다”고 전했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