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충북 ‘워라밸’ 환골탈태…서울 1년 만에 1위 탈환

울산·충북 ‘워라밸’ 환골탈태…서울 1년 만에 1위 탈환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3-12-27 14:16
업데이트 2023-12-27 14: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과 부산, 세종 워라밸 균형 견고한 상위권
울산은 전년대비 11계단, 충북은 10계단 상승
조례 및 담당 조직 확충 등 지자체 관심도 반영

이미지 확대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밸’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권이던 충북·울산이 지자체 관심도를 바탕으로 큰 폭 상승했다.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밸’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권이던 충북·울산이 지자체 관심도를 바탕으로 큰 폭 상승했다. 고용노동부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밸’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로 나타났다. 하위권으로 평가됐던 충북·대구·울산이 1년 만에 상위권에 올라 환골탈퇴했다.

고용노동부가 27일 발표한 ‘2022년 기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에 따르면 서울이 64.8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전년(62점)보다 2.8점 상승하며 1년만에 1위를 탈환했다. 강원은 2021년 15위에서 2022년 최하위로 평가됐다.

워라밸 지수는 근로시간(일)·여가시간(생활)·제도활용·지자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지표를 산출한다.

서울에 이어 부산(63.7점), 세종(62.2점), 충북(60.8점), 대구(60.6점)이 상위권에 올랐다. 서울은 전국에서 남성 육아휴직 사용 사업장 비율이 가장 비율이 높아 ‘제도’영역 점수가 높았고 총 근로시간이 짧고 유연근무 도입·이용률이 높아 ‘일’영역에서도 평가가 우수했다. 지난해 1위였던 부산은 지자체 관심도가 가장 높고, 평일 여가시간 등 ‘생활’영역에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워라밸 균형 지수가 급상승한 지역은 충북·대구·울산으로 나타났다. 울산은 전년대비 12.2점 상승해 순위가 16위에서 7위, 충북은 11.4점이 올라 14위에서 4위로 평가됐다. 대구도 2021년 10위에서 5위로 5계단 상승했다. 울산과 충북은 유연근무 도입·이용률이 증가하면서 일영역 점수가 크게 상승했고, 일·생활균형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담당 조직을 확충하는 등 지자체의 정책적 노력도 돋보였다. 대구는 전 영역에서 고른 상승을 보이며 상위권에 올랐다.

전국 평균은 2021년(54.7점)보다 4점 증가한 58.7점으로 2018년 이후 매년 높아지고 17개 중 15개 지역에서 상승했다. 하위권인 제주는 일영역 점수가 17.1점으로 가장 높았고 중위권인 인천과 전남은 각각 제도와 지자체 관심도에서는 상위 평가를 받았다.

이정한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사회의 일·생활 균형 수준이 상승하고 지역별 편차가 감소했지만 지자체별 부족한 부분이 확인됐다”며 “정부는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근무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현장의 관행 개선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 박승기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