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 유입 막아라’ 경남도 현장 대응 강화

‘조류인플루엔자 유입 막아라’ 경남도 현장 대응 강화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입력 2023-12-06 14:29
업데이트 2023-12-06 14: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점검반 현장점검 진행...방역수칙 집중 안내도

경남도는 전남 고흥군 한 육용오리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1형)가 도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현장 대응을 강화한다고 6일 밝혔다.

도 방역대책본부는 동물방역과와 동물위생시험소 소속 가축방역관으로 구성한 점검반(8개조 18명)을 편성해 방역 취약농가와 주요 철새도래지 방역실태 현장점검을 오는 22일까지 진행한다.
이미지 확대
경남도는 전남 고흥군 한 육용오리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1형)가 도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현장 대응을 강화한다고 6일 밝혔다. 사진은 경남도청 전경. 2023.12.6.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전남 고흥군 한 육용오리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1형)가 도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현장 대응을 강화한다고 6일 밝혔다. 사진은 경남도청 전경. 2023.12.6. 경남도 제공
도는 농장별로 지정된 가금 전담관(220명)을 활용해 방역수칙도 농가에 집중 안내한다. 도와 농림축산검역본부 합동으로 가금 밀집단지(1개소) 특별점검을 시행하는 한편 현장점검반을 활용한 가금농가·방역시설 점검도 잇는다.

경남도는 “전북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진 즉시 관련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현재 경남도와 18개 전 시·군에서는 방역대책본부가 설치됐고 24시간 비상체제에 들어갔다”며 “방역대책본부는 검사·점검·소독 등 방역조치 전반을 강화해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남 발생농가는 감염 야생조류 등으로 농장 진입로가 오염된 이후 농장주의 방역기준 준수 미흡으로 축사까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가금농장에서는 축사 출입 차량과 발판 소독을 시행하는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이행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에 발생한 H5N1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지난달 27일 전주시 만경강 야생조류 분변에서 검출된 이후 국내 가금농가에서는 처음으로 나왔다. 해당 농장에서는 오리 2만 2000마리를 사육하고 있었고 반경 10㎞ 이내 가금농장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초동 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해 출입통제, 살처분, 역학조사 등 방역조치를 시행했다.

창원 이창언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