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원 “세계문화유산 등재 앞둔 전북가야고분, 활용전략 시급하다”

전북연구원 “세계문화유산 등재 앞둔 전북가야고분, 활용전략 시급하다”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입력 2023-09-14 10:45
업데이트 2023-09-14 11: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가야고분군 위치도. 전북연구원 제공
가야고분군 위치도. 전북연구원 제공
유네스코가 인정한 전북가야의 독보적 가치를 극대화할 활용 전략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북연구원은 14일 전북가야고분의 세계유산 등재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4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전북연구원은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가 그 동안 영남지역 가야와 달리 가야연맹 서북부인 전북 남원까지 가야의 경계가 확장되고, 백제와 자율적으로 교섭했던 가야의 정치체를 잘 보여주는 전북가야의 독보적 가치를 유네스코가 인정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에 따른 직간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장수가야 문화유산의 세계유산 확장등재 ▲철 테마 국립박물관 건립 ▲가야 봉수 에코뮤지엄 조성 ▲유네스코 루리티지(RURITAGE)프로젝트 추진 등 네 가지 전략을 공개했다.

먼저 연구원은 장수 삼봉리·동촌리 가야고분군의 완전성과 진정성을 토대로 장수가야 문화유산의 세계유산 확장등재를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전북가야 봉화망. 군산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제공
전북가야 봉화망. 군산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제공
또 전북가야에 밀집 분포하고 있는 제철 유적의 특성을 살려서 가야 철을 테마로 한 국립박물관을 건립하고, 전북 동부 봉화 유적은 남원과 장수는 물론 무주·진안·완주·임실·충남 금산까지 폭넓게 분포된 ‘전북 동부권의 봉화 유적지’를 하나의 야외박물관인 에코뮤지엄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유네스코에서 2020년부터 유산주도 지역재생 프로젝트인 ‘루리티지(RURITAGE)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만큼 이를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북연구원 김동영 연구위원은 “이제는 전북가야 세계유산 등재 이후를 준비해야 할 때”라며 “전북가야 세계유산등재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유산의 보존을 넘어 관광 및 지역재생 등의 지역 활력 창출 전략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설정욱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