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매립지·부실 ‘닮은꼴’… 2026 여수 섬박람회 ‘제2잼버리’ 되나

8월·매립지·부실 ‘닮은꼴’… 2026 여수 섬박람회 ‘제2잼버리’ 되나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입력 2023-08-17 00:02
업데이트 2023-08-17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개국 200여만명 찾는 국제행사
폭염·태풍 불가피한 7~8월 개최
그늘 없고 배수 등 기반시설 문제
사업비는 212억에 그쳐 망신 우려
4000억 경제적 파급효과도 의문
“개최 시기·기간·예산 등 수정해야”

이미지 확대
‘2026 여수 세계섬박람회’가 열리게 되는 여수시 돌산읍 진모지구 전경. 아직 매립이 끝나지 않았으며 평탄화 작업도 이뤄지지 않았다
‘2026 여수 세계섬박람회’가 열리게 되는 여수시 돌산읍 진모지구 전경. 아직 매립이 끝나지 않았으며 평탄화 작업도 이뤄지지 않았다
2026년 개최되는 여수 세계섬박람회가 파행으로 점철된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회’의 실패 경로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이번 새만금 잼버리에서 드러난 문제점으로는 폭염, 폭우, 태풍, 매립지에 급하게 조성된 허술한 부지, 배수 등 기반시설과 편의시설 부실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여수 세계섬박람회도 비슷한 여건 속에서 치러질 가능성이 커졌다.

16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2026 여수 세계섬박람회’는 2026년 7월 17일부터 8월 16일까지 한 달 동안 여수 돌산읍 진모지구와 관내 도서지역 일원에서 ‘섬, 바다와 미래를 잇다’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섬박람회 개최 기간이 지난 1일부터 12일간 진행된 잼버리 대회와 비슷해 폭염과 폭우, 장마, 태풍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자칫 올해와 같은 기후 악조건이 발생하면 섬박람회의 흥행을 보장할 수 없고 준비한 콘텐츠를 제대로 보여줄 기회조차 갖지 못할 수 있다.

전남도와 여수시는 30여개국 200여만명이 섬박람회를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억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도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기상 변수를 고려해 대회 기간을 늘리거나 날짜를 변경하고, 대대적인 기반시설 준비를 지금부터 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섬박람회가 바다 매립지에서 열린다는 점도 새만금 잼버리와 유사하다. 섬박람회가 열리는 돌산읍 진모지구는 그동안 방치되다시피했던 바다 매립지인데, 아직 매립이 다 끝나지도 않았다. 잼버리 부지와 마찬가지로 나무 그늘조차 찾기 힘들다. 배수 등 기반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것은 물론 부지 평탄화 작업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처럼 개최만 결정됐을 뿐 아무 준비도 안 돼 있는 마당에 섬박람회 예산은 212억원이 전부다. 국제 해양관광도시 여수를 세계에 알리기 위한 국제행사인 만큼 212억원에 그치는 사업비로는 국제적 망신만 살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여수 섬박람회의 모델인 여수 세계박람회와 순천만 정원박람회의 경우 예산은 각각 2조원과 2000억원에 이르렀고 행사기간도 각각 3개월과 7개월에 달했다.

전남도와 여수시도 개최 시기와 기간, 예산을 대폭 수정해 박람회의 전체적인 규모를 키우고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제행사를 승인한 기획재정부 및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와 협의할 계획이다.
글·사진 여수 류지홍 기자
2023-08-17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