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갈등의 씨앗 된 ‘전라도 천년사’ 이대로 괜찮을까

갈등의 씨앗 된 ‘전라도 천년사’ 이대로 괜찮을까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입력 2023-05-10 14:02
업데이트 2023-05-10 14: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라도 역사를 집대성한 ‘전라도 (오)천년사’. 왜곡 논란으로 지난해 봉정식 취소
지난달 24일부터 5월 7일까지 공개 의견접수 결과 77건의 이의서 제출
정치권에서도 왜곡 문제 집중 거론하며 폐기 촉구
동학농민혁명의 시초를 놓고 고창과 정읍 간 갈등의 불씨도 재점화

이미지 확대
e-book 형태로 공개된 전라도 천년사. 전북도 홈페이지
e-book 형태로 공개된 전라도 천년사. 전북도 홈페이지
왜곡 논란 휘말린 ‘전라도 천년사’가 지역 내 갈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시민, 정치권의 왜곡 문제 지적에 이어 동학농민운동 시초를 둘러싼 지역 갈등마저 촉발시키고 있다.

10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5월 7일까지 전북도청 홈페이지 알림판(배너) 등을 통해 전라도 천년사를 온라인 e-book 형태로 공개하고 의견 접수를 받은 결과 77건의 이의서가 제출됐다.

전라도 천년사는 전라도 정도 천년을 맞아 2018년부터 2022년까지 3개 광역단체(광주시·전남도·전북도)가 추진한 역사서 편찬 사업이다. 역사와 문화, 예술 등 각 분야의 전문가 213명이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기존 천년의 역사에서 오천년사로 확대되면서 34권 1만 3559쪽에 달하는 책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전라도 천년사가 ‘일제 식민사관’에 기초해 서술됐다는 논란이 잇따랐다.
이미지 확대
‘전라도오천년사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는 지난해 12월 19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도 천년사 최종본 공개와 봉정식 취소를 주장했다. 도민연대 제공
‘전라도오천년사바로잡기 전라도민연대’는 지난해 12월 19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도 천년사 최종본 공개와 봉정식 취소를 주장했다. 도민연대 제공
이번 공개 의견접수에서도 왜곡 문제 대한 지적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정치권에서도 이 문제를 집중 거론하며 폐기를 촉구하고 있다. 진보당 강성희 국회의원은 “왜곡 논란이 제기된 내용에 대해 공개토론회 등의 검증을 거치고 공람 기간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남도의회도 지난 4일 성명을 통해 “고대사 기술 과정에서 고조선 건국 시기를 왜곡하고 역사관을 통째로 왜곡하는 것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일”이며 “일본 극우 사학자들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여 백제 근초고왕이 ‘야마토 왜’에 충성을 맹세했다는 내용을 인용하는 것은 이의신청을 떠나 전면 폐기해야 할 문제다”고 강하게 성토했다.
이미지 확대
전국의 동학농민혁명.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홈페이지
전국의 동학농민혁명.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홈페이지
아울러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을 놓고 팽팽히 맞섰던 고창과 정읍 간 갈등의 불씨도 당기고 있다. 지난 1894년 1월 전봉준 장군이 조선 탐관오리의 상징처럼 굳어진 당시 고부군수 조병갑을 몰아내고자 농민군을 일으켜 고부관아를 점령했고, 3월에는 고창 무장에서 동학농민군의 1차 봉기가 있었다. 두 지역은 해당 사건을 각각 동학농민혁명의 시초로 여기고 있다.

전라도 천년사에는 동학농민혁명 시초가 고창 무장봉기일인 1894년 3월로 표기됐다. 고부봉기일인 1월을 시작점으로 여겨온 정읍지역의 반발은 불 보듯 뻔하다. 정읍 시민사회단체들은 오류를 바로잡겠다며 오는 18일 기자회견을 예고한 상태다. 정읍시 관계자는 “동학 단체와 정읍시, 시도의원 등이 함께 편찬위에 고부봉기의 의미를 정확히 적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그동안 제기된 의견을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전라도 천년사 편찬위에서 제기된 의견을 살피고 반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설정욱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