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내륙철도 영호남 교류 활성화에 기여...경남도 용역 최종보고회

달빛내륙철도 영호남 교류 활성화에 기여...경남도 용역 최종보고회

강원식 기자
입력 2023-03-20 15:44
업데이트 2023-03-20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연구원 연구용역 결과 경제성·타당성 확보.
용역내용 국토부에 건의해 반영 계획.

경남도가 광주~경남 함양~대구를 잇는 달빛내륙철도 건설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통해 사업 타당성 방안을 마련했다.

이미지 확대
달빛내륙철도 사업 구간. 경남도 제공
달빛내륙철도 사업 구간.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20일 오후 달빛내륙철도 경유지인 함양군청에서 ‘달빛내륙철도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고 의견을 수렴했다.

용역은 달빛내륙철도 경남 구간인 함양, 거창, 합천군 지역 정차역 존치 타당성 확보 근거와 운영 최적화 방안 등 지역발전 극대화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했다. 경남연구원이 정책연구과제로 지난해 5월 착수해 10개월여동안 용역을 수행했다. 그동안 합천·거창·해인사 등과 역 위치에 대한 간담회, 함양·거창·합천 3개 군과 정거장 및 노선협의 등 의견 수렴을 했다.

경남도는 용역을 통해 남부내륙철도 등 연계노선을 고려한 열차운행 계획 최적화 방안을 마련하고, 총사업비 및 운영비 산정과 함께 수요·편익도 추정했다. 또 경제적 분석을 비롯해 사업추진 타당성도 검토했다. 경남도는 달빛내륙철도 건설이 아직 확정된 사업이 아니어서 예상 노선이나 정차역 등에 대한 연구용역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지만 용역결과 달빛내륙철도 건설사업은 타당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경남연구원은 달빛내륙철도가 개통되면 광주, 전남(담양), 전북(순창·남원·장수), 경남(함양·거창·합천), 경북(고령), 대구 등 영호남 6개 광역 시·도, 10개 기초자치단체가 철도를 통해 1시간대로 연결돼 새로운 관광수요가 창출되고 영호남 지역 인적·물적 교류도 활성화 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철도 교통 소외지역으로 꼽히는 서부 경남지역 함양, 거창, 합천을 가로지르는 철도망이 구축돼 철도수혜지역 확대와 남부경제권 형성을 통해 지역경제도 활성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경남도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철도 경유지 3개 군 의견을 수렴한 뒤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연구결과를 정리해 국토부에 전달하고 국가철도공단 사전타당성 용역에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광주~함양~대구를 1시간대로 연결하는 달빛내륙철도 건설 사업은 2021년 7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규사업으로 포함됐다. 총길이 198.8㎞로 예상 사업비는 4조 5158억원이다. 현재 국가철도공단에서 예비타당성조사에 앞서 경제성 분석과 사업 구체화를 위해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을 진행중이다.

김영삼 경남도 교통건설국장은 “달빛내륙철도를 비롯해 남부내륙철도, 남해안 고속화철도 등 연계 교통망이 구축되면 영·호남을 아우르는 철도망이 형성돼 사회·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교류가 촉진되고 서부경남이 초광역 거점도시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