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완화…수도권 지하철 유실물도 늘어

거리두기 완화…수도권 지하철 유실물도 늘어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23-02-10 11:15
업데이트 2023-02-10 1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지하철 유실물, 전년 대비 25% 이상 증가
가장 많이 잃어버리는 물건은 지갑>휴대폰>의류 순
“선로에 물건 빠질 경우 다음날 회수 가능”

이미지 확대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유실물센터에 승객들이 분실한 지갑들이 쌓여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유실물센터에 승객들이 분실한 지갑들이 쌓여있다.
서울시 제공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이 이뤄지면서 지난해 수도권 지하철의 유실물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교통공사는 2022년 한 해 동안 공사에 접수된 유실물이 총 12만 7387건으로, 2021년 유실물 10만 1618건 대비 25.3%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지하철 수송인원은 21억 5371만 1304명은 2021년 수송인원 19억 5103만 4079명 대비 110%를 기록했다.

가장 많이 잃어버린 물건은 지갑이었다. 총 3만 1228건으로 전체 유실물 중 24.5%였다. 이어 휴대전화(16.5%), 의류(14.4%), 가방(14.2%) 순이었다. 가방은 10년전까지만해도 가장 많이 잃어버리는 물건이었지만 지난해엔 4위로 밀려났다.

2018년 이후부터는 지갑 분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 접수되는 지갑류 중 대부분이 얇은 카드 지갑인 것을 감안하면, 지갑 내 교통카드를 개찰구 등에서 사용 후 깜빡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공사는 추정했다.

지난해 지하철에서 물건을 잃어버리고 다시 찾아간 경우는 전체의 63%(8만 191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2만 9618건(23%)은 경찰에 이관되었고 1만 7578건(14%)은 보관된 채로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지하철에 물건을 두고 왔다면 잃어버린 위치와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고객안전실에 유실물을 신고하기 전, 열차 하차 시각과 방향, 승·하차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유실물 찾기에 큰 도움이 된다고 공사는 설명했다. 공사 관계자는 “열차와 승강장 사이 선로에 물건을 떨어뜨렸다면 안전을 위해 열차 운행 시간에는 회수가 어렵기때문에 당일에 물건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면서 “선로에 물건이 빠졌을 때에는 물건의 종류와 승강장 위치를 함께 고객안전실로 신고하면, 영업 종료 후 수거해 다음 날부터 인계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재홍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