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부터 순경 시험 여성 응시자도 ‘정자세’ 팔굽혀펴기

내년 7월부터 순경 시험 여성 응시자도 ‘정자세’ 팔굽혀펴기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2-11-22 11:34
업데이트 2022-11-22 23: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릎 대고 팔굽혀펴기에서 남성과 동일한 자세로 변경
경찰대, 간부후보생 시험에서는 올해부터 시행중

경찰관 채용 체력시험. 연합뉴스
경찰관 채용 체력시험. 연합뉴스

내년 하반기부터 경찰관 채용시험에서 여성 응시생의 팔굽혀펴기 자세(무릎 대고 팔굽혀펴기)가 남성과 동일한 ‘정자세’로 변경된다.

국가경찰위원회는 지난 21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행정예규인 만큼 별도의 심사나 공포 절차 없이 경찰청장 결재와 함께 개정 내용이 확정된다. 다만 수험생 혼란을 우려해 내년 7월 1일까지 유예기간을 뒀다.

이에 따라 내년 7월부터는 경찰관 채용시험에서 남성과 여성 응시자 모두 ‘양손을 어깨너비로 벌리고, 발은 모은 상태에서 팔은 직각, 몸은 수평이 되도록 유지하는 자세’로 팔굽혀펴기를 해야 한다. 그동안 경찰관 채용시험에서 여성 응시자는 ‘무릎을 대고 무릎 이하는 바닥과 45도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팔굽혀펴기를 했다.

성별에 따라 차이를 둔 기존의 방식을 놓고 논란이 일었고, 이번에 성별과 관계없이 측정 방식을 통일한 것이다. 다만 근력 차이 등을 감안해 여성의 점수 기준은 남성의 50% 수준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경찰은 2024년 1월부터 현직 경찰관 체력 검정에서도 팔굽혀펴기 방식을 ‘정자세’로 통일한다.

경찰관 공채 체력시험은 팔굽혀펴기를 포함해 윗몸일으키기, 악력 측정, 100m 달리기, 1000m 달리기 등 총 5개 종목(50점 만점)이다. 체력시험은 50점 만점에 19점 이하를 받거나 어느 한 과목이라도 1점을 취득하면 불합격 처리된다. 팔굽혀펴기는 남성은 12개 이하, 여성은 10개 이하면 1점을 받게 돼 다른 과목 점수와 관계없이 탈락이다. 경찰대와 간부후보생 채용과정에서는 이미 성별 구분없이 모두 정자세로 팔굽혀펴기를 하고 있다.

아울러 경찰은 면접시험에서 각종 자격증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제도가 ‘점수 채우기식’으로 변질했다는 지적에 따라 2025년 1월부터 모두 폐지하기로 했다. 다만 무도 단증은 면접시험 대신 체력시험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홍인기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