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안한 노후 쉽지 않은 전북도민…국민연금 수급액 전국 최하위

편안한 노후 쉽지 않은 전북도민…국민연금 수급액 전국 최하위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입력 2022-07-16 09:00
업데이트 2022-07-16 0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북도민 국민연금 수령액 50만원대 불과...전국 최하위
상위 1% 근로소득자 역시 최하위권
젊어서는 일자리 부족, 노후에는 생활고

전북지역 국민연금 가입자가 은퇴 후 받는 노령연금이 전국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 수급액 차이는 지역 간 소득 격차가 주원인이다. 결국 전북도민들은 젊어서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 노후에는 적은 수급액으로 생활고에 시달리는 있는 셈이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국회의원(전남 여수을)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전국 시·도별 노령연금 수급 현황’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전북지역 가입자는 월평균 50만 3200원을 수령했다. 이는 전국 최저 수준임은 물론 수급액이 가장 많은 울산(75만 7200원)의 66%에 불과한 수치다.

연금 수급액은 납입액과 가입기간에 비례하는 것으로 전북 경제 상황과 소득 수준이 그만큼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지난 3월말 공개된 국세청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 현황’을 살펴보면 전북지역 직장 재직자는 전국 최저 수준인 1.2%(2333명)에 불과했다. 인구 10만명 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로 환산해도 129명에 그쳐 강원(124명)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김 의원은 “국토 불균형과 수도권 집중화 등으로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된 가운데 노후 대비를 위한 1차 사회안전망인 국민연금에서조차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며 “소외지역에서 발생하는 노후보장 격차를 해결하려면 추가적인 사회안전망 구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