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에 매립한 서울시 폐기물, 작년보다 절반 줄었다

수도권매립지에 매립한 서울시 폐기물, 작년보다 절반 줄었다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22-06-12 14:40
업데이트 2022-06-12 1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인천 서구 검단·검암동과 김포시 양촌읍 일대에 조성된 수도권매립지 현황. 수도권 66개 시군구 중 64개 지자체가 이용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인천 서구 검단·검암동과 김포시 양촌읍 일대에 조성된 수도권매립지 현황. 수도권 66개 시군구 중 64개 지자체가 이용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5t 이상 대형건설폐기물 반입 금지 효과 서울시 “쓰레기 감축 각종 정책도 한몫”

서울시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된 서울시 폐기물 양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절반으로 줄었다고 12일 밝혔다.

수도권매립지 내 서울시 폐기물 매립량은 지난 1~4월 13만 5824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5만 5780t)보다 47% 감소했다.

특히 건설폐기물 매립량이 82%(13만 3768t→2만 4064t) 줄었다고 전했다. 건설폐기물은 수도권매립지로 가는 서울시 폐기물의 약 50%를 차지한다. 건설폐기물 매립량이 급감한 건 지난 1월부터 5t 이상 대형건설폐기물의 수도권매립지 반입이 금지된 데 따른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는 생활폐기물 매립량도 지난 1~4월 9만 5934t으로, 작년 동기(10만 4935t) 대비 8.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생활폐기물 소각량(23만 9112t)도 전년 동기(24만 7625t) 대비 3.4% 줄었다.

생활폐기물은 재활용, 소각, 매립 등 세 가지 방식으로 처리된다. 재활용을 우선으로 하고, 재활용이 어려우면 자원회수시설에서 소각한 뒤 소각재를 매립하거나 직매립하는 식이다.

올해 생활폐기물 매립량과 소각량이 모두 감소한 것은 쓰레기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이려는 다양한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재활용 정책에 대한 시민 참여가 활발해진 데 따른 것이라고 시는 분석했다.

시는 일회용컵과 배달 용기 사용 감축, 일회용품과 포장재를 사용하지 않는 매장 ‘제로마켓’ 확대 등을 중심으로 ‘제로웨이스트 서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수도권매립지는 수도권 2600만 국민의 공동자산인 만큼 강력하고 효과적인 폐기물 감량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