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진료비는 늘고, 임신·출산 진료비는 22.8% 감소

노인 진료비는 늘고, 임신·출산 진료비는 22.8% 감소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03-30 14:48
업데이트 2022-03-30 1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강보험 진료비에 나타난 고령사회

사진은 한 노인이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계단에 앉아 머리를 감싸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한 노인이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계단에 앉아 머리를 감싸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고령인구는 늘고 아기 울음 소리는 잦아든 대한민국의 현실이 건강보험 진료비에서도 드러났다. 지난해 전체 진료비 중 노인진료비 비중이 43.4%까지 치솟았고, 임신·출산 진료비는 전년보다 22.8%나 감소했다.

건강보험공단이 30일 발간한 ‘2021 건강보험 주요통계’에 따르면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15년 622만명에서 2018년 709만명, 지난해 832만명으로 늘었다. 이 기간 건강보험 적용 인구 중 노인의 비중도 2015년 12.3%, 2018년 13.9%, 지난해 16.2%로 커졌다.

노인 인구가 증가하며 건강보험 총 진료비도 매년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93조 5011억원으로, 전년(86조 9545억원)보다 7.5% 증가했고, 65세 이상 진료비는 40조 6129억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43.4%를 차지했다. 2015년만 해도 37.6%였는데, 2018년 40%를 넘어서더니 갈수록 증가세다. 65세 이상 1인당 월 평균 진료비는 41만 5887원으로, 전체 월 평균 15만 1613원의 2.7배 수준이다.

반면 임신·출산 진료비는 출생아 수가 줄며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15년 2301억원이던 진료비가 2020년 1990억원으로 줄었고, 지난해는 1537억원까지 내려앉았다. 건강보험공단은 지난해 7월 임신·출산진료비 지원(단태아 기준 60만원→100만원) 확대의 영향이라고 설명했지만, 이를 단일 요인으로 보기에는 감소폭이 크다.

세대당 월평균 보험료는 12만 2201원으로 전년보다 7.1% 증가했다. 세대 당 월 보험료는 직장 가입자 13만 3591원, 지역 가입자 9만 7221원이다. 1인당 월평균 보험료는 6만 5211원이다.

지난해 보험료 부과액은 69조 4869억원으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고, 이 가운데 직장 보험료 부과액이 59조 4666억원으로 총 부과액의 85.6%를 차지했다. 5대 상급종합병원(빅5) 급여비는 4조 5411억원으로 전년(4조 2843억원)보다 6.0% 증가했다.
이현정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