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t 잔해 추락에 멈췄던 광주 붕괴 현장 구조·수색작업 재개

26t 잔해 추락에 멈췄던 광주 붕괴 현장 구조·수색작업 재개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2-02-03 17:09
업데이트 2022-02-03 17: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광주 붕괴 건물서 25t 대형 구조물 낙하
광주 붕괴 건물서 25t 대형 구조물 낙하 2일 오전 8시 7분께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붕괴 건물에 매달려 있던 25t 규모의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래로 떨어졌다. 사진은 지난 29일 기울어진 채 매달려 있던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습(사진 왼쪽)과 이날 이 구조물이 떨어져 일부가 건물에 걸쳐 있는 모습(오른쪽). 2022.2.2 연합뉴스
중단 32시간 만...소방당국 “오후 4시 30분부터 다시 활동” 밝혀

26t짜리 콘크리트 잔해물이 떨어지면서 잠시 중단됐던 매몰자 및 실종자 구조·수색작업이 재개됐다. 구조·수색작업이 중단된 지 약 32시간 만이다.

범정부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지역 사고수습통합대책본부는 3일 “오늘 소방 탐색구조 활동은 오후 4시 30분부터 재개했다”고 밝혔다. 앞서 국토안전관리원 등이 참여한 전문가 자문단은 이날 오후 1시쯤 현장을 방문한 뒤 오후 2시부터 회의를 진행했다.

회의에서 전문가 자문단은 대형 잔해 추락 사고가 난 건축물의 위험성 감소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 본부는 전문가 자문단의 의견을 청취한 뒤 탐색구조 활동의 재개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오전 8시 7분쯤 아파트 건물 서쪽 외벽(1호 라인) 28층 모서리 부분에 매달려있던 26t가량 콘크리트 덩어리가 추락했다. 구조물 중 큰 덩어리가 22층까지 떨어진 뒤 건물에 얹혔다.
이미지 확대
위태로운 1호 라인 안정화 작업
위태로운 1호 라인 안정화 작업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가 발생한 지 23일째인 2일 오후 작업자들이 서쪽 1호 라인 외벽에서 현장 안정화 작업하고 있다. 2022.2.2 연합뉴스
일부는 건물 벽을 따라 지상으로 떨어졌고, 낙하 충격에 먼지구름이 피어올랐다.

당시 건물 내에는 152명이 작업 중에 있었지만, 신속히 대피해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매몰자 구조와 실종자 수색은 사고 이후 곧바로 중단됐다.

지난달 11일 오후 3시 46분쯤 HDC 현대산업개발이 신축 중이던 화정아이파크 주상복합아파트 201동(지하 4층·지상 39층)에서 23∼38층 16개 층 내부 구조물과 외벽 일부가 한꺼번에 붕괴해 작업 중이던 6명이 실종됐다.

구조 당국은 붕괴 발생 나흘째인 지난달 14일 첫 피해자를 지하공간에서 수습했고, 지난달 31일에는 매몰자 1명을 추가 수습했다. 또 26·27층에서 매몰자가 1명씩 각각 발견됐다. 남은 실종자는 2명이다.
이범수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