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6개 치매안심센터 모두 정식 개소…“내년 이용시간 확대”

256개 치매안심센터 모두 정식 개소…“내년 이용시간 확대”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19-12-20 17:33
업데이트 2019-12-20 17: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 대통령 치매국가책임제 선언 이후 약 2년만

치매 어르신들과 함께 종이접기 하는 문 대통령 내외
치매 어르신들과 함께 종이접기 하는 문 대통령 내외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7일 오전 금천구 치매안심센터를 방문, 치매 어르신들과 함께 종이접기로 카네이션을 만들고 있다. 2019.5.7
연합뉴스
보건복지부가 20일 강릉시 치매안심센터가 개소함에 따라 전국 256개 보건소 치매안심센터가 모두 정식 개소했다고 밝혔다.

치매안심센터는 상담과 치매 선별·진단검사, 인지지원프로그램 운영, 쉼터 제공, 치매안심마을 조성, 치매공공후견 사업, 치매노인 지문 사전등록 등 치매 관련 통합(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치매안심센터는 정부가 2017년 9월 치매국가책임제를 선언한 이후 그해 12월 경남 합천에서 처음 운영됐다. 작년에 165개, 올해 90개가 정식으로 개소되면서 전체 256개 센터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올해 11월 말 기준으로 전체 치매 환자(79만명)의 57.6%인 45만5000명을 치매안심센터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심층상담(383만건), 선별검사(425만건), 진단검사(33만건), 사례관리(7만4000건)도 성과를 내고 있다.

정부는 내년에 경증치매 환자 돌봄서비스 강화에 초점을 맞춰 치매안심센터 쉼터 이용 시간을 확대(기존 1일 3시간→최대 7시간)하고, 이용 기한도 지방자치단체가 재량으로 연장(현재 최대 6개월)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 전문인력을 노인복지관, 경로당에 파견하는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건지소에서도 치매안심센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정책을 펴기로 했다.

양성일 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이날 강릉시 치매안심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매안심센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지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