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돌 맞는 5·18… 세계 인권·평화 디딤돌 놓는다

39돌 맞는 5·18… 세계 인권·평화 디딤돌 놓는다

최치봉 기자
입력 2019-05-05 23:16
업데이트 2019-05-06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8~20일 광주인권상 시상식·아시아포럼

포럼 참석 15개국 인권운동가 등 3000명
5·18 진상규명 논의… 난민 문제 등 다뤄
‘원주민 보호’ 조안나 카리뇨 광주인권상
특별상엔 인도네시아 디알리타 합창단

5·18 민주화운동 제39돌 기념일인 오는 18~20일 ‘2019 광주인권상 시상식’과 ‘광주아시아포럼’이 동시에 열린다.

5·18기념재단은 이 기간 ‘학살 난민-국가폭력과 국가의 보호책임’이란 주제의 포럼을 통해 5·18 진상 규명과 국가폭력으로 인한 난민 문제 등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 문제를 되짚어 본다고 5일 밝혔다.

광주 서구 치평동 5·18기념문화센터 민주홀에서 열리는 이번 포럼은 세계적 인권 운동가 등 15개국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3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는 ‘5·18 학살책임과 진상 규명’ 문제가 논의된다. 주제별로는 ▲5·18 진상 규명과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 ▲미완의 과거청산-성과와 쟁점 ▲로힝야 문제의 현황 및 국내적·지역적·국제적 문제해결 방안 등이다.

두 번째는 ‘국가의 책임-난민을 위한 법제도, 인식과 관행-차별과 혐오를 넘어’라는 주제로 국가폭력의 또 다른 양상인 난민 문제를 다룬다. 국가폭력과 분쟁으로 빚어진 시리아·로힝야 등과 같은 대량 난민사태 등이다. 유엔 등 국제적 차원에서 국가 간 협력, 의무 분담 등 난민보호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지만 각 국가 내 논의는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런 현실을 되짚어 본 뒤 차별과 혐오를 넘어 공존으로 나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세 번째는 ‘미완의 과거청산-성과와 쟁점’이다. 과거 이뤄진 국가주도 과거사 청산 작업들이 어떤 성과를 거두고 어떤 한계를 가졌는가를 살펴보고 전망을 논의한다. 홀로코스트,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와 같은 국내외의 국가범죄와 과거사 청산 사례에 대한 미래지향적 해결점을 제시한다.

포럼에 앞서 18일 오후 2시 ‘2019 광주 인권상’ 시상식도 열린다. 광주인권상 본상 수상자로 결정된 조안나 카리뇨(67·필리핀)는 필리핀 코딜레라 민중연합을 설립하는 등 30여년 동안 원주민의 권익 증진과 인권 보호에 앞장서 왔다. 특별상 수상자 디알리타 합창단(인도네시아)은 1965년부터 1966년 인도네시아 반공대학살에서 살아남은 피해자 여성과 희생자 가족이 2011년 결성한 단체다. 음악을 통해 스스로를 치유함은 물론 다른 피해자를 지원하고 비극적인 과거사를 공개적인 장으로 이끌냈다. 광주인권상 특별상은 격년 단위로 시상한다.

5·18기념재단 관계자는 “망언과 왜곡이 끊이지 않는 현실에서 5·18의 가치를 널리 확산해 세계 인권과 평화의 디딤돌로 삼기 위해 이번 포럼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9-05-06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