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제 적용 사업장, 채용 예정 인원 대폭 확대

주 52시간제 적용 사업장, 채용 예정 인원 대폭 확대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18-10-10 13:52
업데이트 2018-10-10 1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 52시간 초과 노동자 있는 사업장도 16.4%로 대폭 감소

지난 7월부터 주 52시간 근무제를 적용하는 사업장에서 채용 예정 규모를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직원들의 근무 시간이 줄어들어 새로운 인력이 필요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10일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주 52시간제 2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 52시간제를 적용한 300인 이상 사업장과 공공기관 3557곳 중 937곳(26.3%)이 인력 충원 계획을 추진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채용 예정 규모는 총 4만 3172명이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8월 3~17일 진행됐다.

앞서 고용부는 주 52시간제를 시행하기 전인 지난 5월 25일부터 6월 19일까지도 1차 실태조사를 벌였다. 이때 조사 대상 사업장은 3627곳이었는데 813곳(22.4%)에서 2만 1115명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2개월 만에 채용 계획을 세운 사업장이 100곳 이상 늘었고 채용 규모도 2배 이상 확대됐다. 1~2차 실태조사에서 조사 대상이 다소 차이가 난 이유는 사업장마다 인력 변동으로 주 52시간제 적용에서 제외 또는 추가되는 사업장이 있기 때문이다.

단위기간을 정해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탄력근로제 등 유연근로제를 도입한 곳도 늘었다. 유연근로제를 도입한 곳은 1037곳(29.2%)으로 1차 실태조사때 830곳(22.9%)보다 207곳 많아졌다. 새로운 직원을 뽑는 방법 외에도 기업이 업무량에 따라서 근로자를 배치하는 방식을 조정하는 형태로 주 52시간제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주 52시간제가 적용된 사업장에서 실제 노동시간이 1주 최대 52시간을 넘는 노동자가 있는 곳의 비율은 2차 실태조사(583곳·16.4%)에서 1차 실태조사(1454곳·40.1%)보다 확연히 줄었다. 이 의원은 “우려와는 달리 근로시간 단축 이후 주 52시간 초과 노동자가 줄고 기업의 인력 충원 계획 규모가 느는 등 현장에 안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