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솔릭’ 상륙] 창문 테이프 붙일 땐 창틀에 고정되도록 틈 막아야

[태풍 ‘솔릭’ 상륙] 창문 테이프 붙일 땐 창틀에 고정되도록 틈 막아야

입력 2018-08-22 23:12
업데이트 2018-08-23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반도 ‘솔릭’ 비상… 대피 행동 요령은

가스유출 위험… 정전 시 양초는 금물
배수구 점검·외출할 땐 신호등 주의를

제19호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관통하며 크고 작은 피해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민도 태풍에 대비한 행동 요령을 숙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2일 행정안전부의 국민재난안전포털에 따르면 태풍의 영향권에 진입하기 전에는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이 있다면 뚫어야 태풍으로 인한 침수를 예방할 수 있다. 산사태 위험이 있는 지역의 주민들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하천 근처에 주차된 차량은 지대가 높은 쪽으로 이동시켜 놓아야 하며, 침수가 예상되는 지하주차장에 주차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 생필품을 미리 준비해 두는 것도 비상시 도움이 된다.

태풍의 영향권에 들면 무엇보다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 특히 어린이나 노인은 외출에 특히 유념해야 한다. 외출 시에는 공사장 근처,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 지하공간 등에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한다. 집 안팎의 전기 수리도 감전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자제해야 한다. 천둥·번개가 칠 때에는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 창문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테이프를 붙여 고정하면 강한 비바람이 집 안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내에서는 창문과 유리문에서 되도록 떨어져 있어야 안전하다. 바람이 들이닥칠 때는 창문이 없는 방으로 대피해야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정전 시 양초 사용은 금물이다. 가스 유출 시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태풍이 지나간 이후 상하수도·축대·도로 등이 파손됐다면 주민센터나 시·군·구청에 신고해야 한다. 또 각종 기름이나 동물의 사체가 뒤섞인 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수돗물과 식수를 사용하기 전 오염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하며, 반드시 끓여 마셔야 한다. 가스 유출이 염려될 때에는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에 연락해 전문가로부터 안전점검을 받은 후 사용해야 한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18-08-23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