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성 헌재소장 “北에도 법치주의 실현될 것…비핵화가 바탕”

이진성 헌재소장 “北에도 법치주의 실현될 것…비핵화가 바탕”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5-02 16:00
업데이트 2018-05-02 16: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화여대 특강…“평창서 만난 김영철, 이정미 전 소장 안부 물어”“정치의 장에서 해결할 문제가 사법부로 오는 것 상당히 문제”

이진성 헌법재판소장은 2일 “현 단계에서 아주 조심스러운 이야기지만 먼 훗날일지라도 한반도 비핵화를 바탕으로 군주국가와 비슷한 형태의 북한에도 법치주의가 실현되는 시대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미지 확대
강연하는 이진성 헌법재판소장
강연하는 이진성 헌법재판소장 이진성 헌법재판소장이 2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관에서 ’헌법재판은 무엇을 추구하는가’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법학관에서 ‘헌법재판은 무엇을 추구하는가’를 주제로 한 특강에서 4·27 남북정상회담을 언급하며 “양측 지도자가 만나 판문점이 분단의 상징이 아닌 평화의 상징이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소장은 평창동계올림픽이 한반도 평화로 가는 첫걸음이었다고 평가하며, 폐막식 당시 북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 사령관 사이에 앉아 나눈 대화를 소개했다.

이 소장은 “김 부위원장에게 내가 헌재소장이라고 밝히자, 첫 질문이 ‘탄핵 재판할 때 여자 재판관(이정미 당시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지금 뭐하느냐’였다”며 “그분들도 TV로 봐서 다 알고 있던 것”이라고 전했다.

또 김 부위원장에게 북한도 컬링을 하느냐고 묻자 김 부위원장은 “자기들이 (참여하는) 동계 종목이 다 초창기 단계라서 그렇게 잘하지는 못하지만, 컬링도 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 소장이 하늘에서 펼쳐진 드론 쇼를 보고 있지 않자 브룩스 사령관이 하늘을 보라고 알려줬고, 이 소장은 이를 김 부위원장에게 알려 “간접적으로 그때 북미대화를 실현했다”고 농을 던져 객석의 웃음을 자아냈다.

헌재에서 소수의견을 많이 내온 이 소장은 이날 특강에서도 소수의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사회 환경이 바뀌면 소수의견이 언제든 다수 의견이 될 수 있고, 이것이야말로 민주사회의 장점”이라고 말했다.

이 소장은 2013년 헌재가 선거권자 연령을 19세 이상으로 제한한 선거법이 합헌이라는 결정을 내렸을 때 자신이 냈던 소수의견을 소개하며 “어릴 때부터 타협과 갈등조정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하자는 의미에서 낮추자는 의견을 냈는데 아직도 안 낮춰지고 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최근 정치적인 이슈가 법원이나 헌재로 넘어오는 사례를 놓고 “정치의 장에서 타협이나 조정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사법부로 오는 것에 상당히 문제가 있다고 보인다”면서도 “그것을 마다치 않고 헌법적 정당성을 바탕으로 무엇이 옳은지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에서 나오는 ‘헌법재판관이 민주적 정당성이 없다’는 비판에 반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 소장은 헌법재판관이 선거로 정해진다면 지지기반을 뛰어넘는 독립적인 판단을 하기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며 재판관에게는 민주적 정당성이 아닌 헌법적 정당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개헌과 관련해서는 “지금까지 헌재나 사법부의 판단은 신체의 자유, 표현의 자유 등 자유권의 확대에 중점을 두어왔는데 앞으로는 사회적인 불평등을 해소하고 계층 간 대립·갈등을 조정하는 데 더 노력해야 한다”며 “자유권 확대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헌법을 해석하고, 그런 방향으로 개정되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