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감기’ 환자 한해 873만명…“손 씻기가 최선의 예방”

‘봄 감기’ 환자 한해 873만명…“손 씻기가 최선의 예방”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11 15:32
업데이트 2018-04-11 15: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보공단 “일교차 심해 저항력 저하…어린이·청소년 주의해야”

국민 10명 중 4명이 앓는 감기는 겨울 다음으로 봄철에 많이 걸린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감기는 약을 먹어도 증상을 완화할 뿐, 바이러스가 빨리 없어지거나 앓는 기간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므로 손 씻기로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11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6년 ‘감기’로 병원을 찾은 사람은 2천11만6천350명이었다. 9세 이하 아동이 355만6천155명으로 전체 환자의 17.7%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 인원으로 보면 3만9천628명으로, 10명 중 4명꼴이다.

진료 인원은 겨울(12∼2월)에 963만명으로 가장 많고, 봄(3∼5월)이 873만명으로 뒤를 이었다. 가을(9∼11월)엔 813만명, 여름(6∼8월)엔 614만명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박윤수 교수는 “봄철에는 환절기의 심한 일교차가 신체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데 이에 따라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봄철 감기 질환자가 많다”고 설명했다.

또 “9세 이하 소아와 10대 청소년은 성인보다 면역이 미숙한 상태로, 단체 생활에서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 감기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며 손 씻기가 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할 수 있다고 입증된 보편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명확하게 입증된 것은 아니지만, 유산균 섭취나 적절한 운동, 충분한 수면, 비타민 보충 등이 감기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