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삼국시대 아차산성서 6세기 후반 집수시설 발견

삼국시대 아차산성서 6세기 후반 집수시설 발견

입력 2017-12-14 18:12
업데이트 2017-12-14 18: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삼국시대 산성인 서울 아차산성에서 6세기 후반에 물을 모으기 위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수시설이 확인됐다. 남북 방향으로 흐르는 계곡의 중앙부에 만들어진 집수시설은 먼저 땅을 파낸 뒤 물이 새지 않도록 벽면에 점토를 부착하고 20∼90㎝ 길이의 석재를 쌓아 축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진구 제공
삼국시대 산성인 서울 아차산성에서 6세기 후반에 물을 모으기 위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수시설이 확인됐다. 남북 방향으로 흐르는 계곡의 중앙부에 만들어진 집수시설은 먼저 땅을 파낸 뒤 물이 새지 않도록 벽면에 점토를 부착하고 20∼90㎝ 길이의 석재를 쌓아 축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진구 제공
삼국시대 산성인 서울 아차산성에서 6세기 후반에 물을 모으기 위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수시설이 확인됐다. 남북 방향으로 흐르는 계곡의 중앙부에 만들어진 집수시설은 먼저 땅을 파낸 뒤 물이 새지 않도록 벽면에 점토를 부착하고 20∼90㎝ 길이의 석재를 쌓아 축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집수시설의 개흙층에서 출토된 목간 한 점. 길이 13.5㎝, 상단 폭 3㎝, 하단 폭 1.5㎝, 두께 1.2㎝ 크기다. 목간의 앞쪽에서는 묵서의 흔적이 확인됐으나 적외선 촬영을 통해서도 글자가 판독되지는 않았다. 목간은 종이가 발명되기 전 문자를 기록하던 목편이다. 광진구 제공
집수시설의 개흙층에서 출토된 목간 한 점. 길이 13.5㎝, 상단 폭 3㎝, 하단 폭 1.5㎝, 두께 1.2㎝ 크기다. 목간의 앞쪽에서는 묵서의 흔적이 확인됐으나 적외선 촬영을 통해서도 글자가 판독되지는 않았다. 목간은 종이가 발명되기 전 문자를 기록하던 목편이다.
광진구 제공
집수시설의 개흙층에서 출토된 목간 한 점. 길이 13.5㎝, 상단 폭 3㎝, 하단 폭 1.5㎝, 두께 1.2㎝ 크기다. 목간의 앞쪽에서는 묵서의 흔적이 확인됐으나 적외선 촬영을 통해서도 글자가 판독되지는 않았다. 목간은 종이가 발명되기 전 문자를 기록하던 목편이다.

광진구 제공

2017-12-15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