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이웃 접경지역 : 4개 시·군 특성과 애로사항·숙원사업] ‘수도권정비법’ 적용 제외… 지역경제 살려야

[우리 이웃 접경지역 : 4개 시·군 특성과 애로사항·숙원사업] ‘수도권정비법’ 적용 제외… 지역경제 살려야

입력 2017-09-14 17:18
업데이트 2017-09-14 19: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화봉 연천군 기획팀장

경기 연천군은 말이 ‘수도권’이지 지방보다 더 어렵다.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적용하지 말아야 할 만큼 절박하다.
이미지 확대
박화봉 연천군 기획팀장
박화봉 연천군 기획팀장
연천군 인구는 1983년 6만 7848명이었으나 2014년 4만 6154명으로 2만 1000여명이나 급감했다. 경기도 31개 시·군 중 유일하게 인구가 감소했는데 인접 타지역과 달리 정주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곡읍과 함께 연천에서 가장 번성했던 신서면의 학생수는 30년 전 대비 95% 감소했다. 다른 곳은 어떨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듯싶다. 이대로 가면 사람이 한 명도 살지 않는 ‘무인지대’가 될지도 모른다. 신서면에서 가장 번화가였던 대광리역 주변에는 빈 상가가 넘쳐 난다. 모텔·노래방·PC방은 물론 상가 대부분이 문을 닫았다. 휴업·임대·매매를 알리는 누렇게 변색된 종이가 즐비하게 나붙었다. 유일한 관광객 유인시설이었던 군 신병교육대가 2012년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더 심각해졌다. 2년 전에는 대북전단을 날린다는 이유로 북한에서 쏜 고사총탄이 날아오면서 지역 이미지를 악화시켰다.

연천군에는 아직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자연과 평화, 생명이 공존하는 ‘한반도의 허리’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 만큼 미개발지역이 많다. 서울에서 그리 멀지도 않다. 한반도 첫 인류가 살았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요충지였을 뿐만 아니라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뱃길로, 일제강점기에는 기찻길로 번화했던 고장이다. 그러나 남북분단 이후 전체 면적의 대부분이 군사시설보호구역 등 중첩 규제에 묶여 개발이 어려워졌고 국가정책에서 소외되면서 수도권에서 인구가 감소하는 유일한 지역이 됐다.

연천을 비롯한 접경지의 지역경제가 활성화되려면 수정법에서 제외되고 경쟁력 있는 대형산업단지들이 들어서야 한다. 특히 접경지역 지자체들의 숙원사업인 인천국제공항~고성 간 동서평화고속도로가 경제성이 아닌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추진돼야 한다. 기존 국도를 활용하면 고속도로 신설과 같은 동일한 광역교통망 구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업비도 7조원에서 2조 5000억원으로 크게 줄일 수 있다.

2017-09-15 3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