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영화 군함도는 팩션… 日징용 참상 각인에 의미”

“영화 군함도는 팩션… 日징용 참상 각인에 의미”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7-07-31 22:44
업데이트 2017-07-31 22: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인환 前 강제동원 피해 조사·희생자 지원위원장

개봉 5일 만에 4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군함도’를 전문가는 어떻게 봤을까. 군함도의 배경이 된 하시마섬의 탄광은 조선인 500~800명이 강제 징용돼 갖은 고초를 겪었던 곳이다.

서울신문은 지난 27일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박인환 건국대 행정대학원 교수와 함께 영화 ‘군함도’를 관람했다. 박 교수는 영화를 본 직후 “광복절을 앞두고 일제의 강제 징용 참상을 국민들에게 인식시켰다는 점에선 큰 의미가 있다”면서도 “국민의 카타르시스를 충족시키는 것만으론 부족하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박인환 건국대 교수가 지난 27일 서울 중구의 한 극장에서 영화 ‘군함도’를 본 뒤 “일본의 강제 징용 참상을 알릴 계기라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세월이 흘러도 강제 징용 피해자 조사를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박인환 건국대 교수가 지난 27일 서울 중구의 한 극장에서 영화 ‘군함도’를 본 뒤 “일본의 강제 징용 참상을 알릴 계기라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세월이 흘러도 강제 징용 피해자 조사를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영화 어떻게 봤나.

-역사적인 사실(팩트)에 상상력(픽션)을 덧붙인 ‘팩션’(faction)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세계인들은 나치의 유대인 학살은 잘 알지만 일본 제국주의의 참상에 대해선 잘 모르고 있다. 이 영화를 계기로 일제의 강제 징용이 널리 알려진다면 그 의의를 확대할 수 있겠다.

→아쉬운 점이라면.

-일본의 강제 동원은 ‘인류애’ 문제다. ‘피아니스트’, ‘쉰들러리스트’, ‘인생은 아름다워’ 등은 유대인 학살과 관련된 영화이지만 독일 사람이 봐도 눈물이 나는 영화다. 이런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한 영화가 탄생하길 기대했다.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조사는 제대로 되고 있나.

-피해자 신고는 거의 다 이뤄졌다고 본다. 정부에서는 민간재단인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예산을 지원한다. 말 그대로 ‘지원’ 재단이다. 피해자 조사를 도외시하고 지원에만 치중해선 안 된다. 지원보다 조사가 더 중요하다. 일본은 우리의 능력과 의지를 시험하고 있다. 조사를 하지 않고 지원만 하면 일본 측에서 쾌재를 부를 것이다. 우리가 강제 징용 피해에 대한 조사에 나서야 일본이 긴장한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도 마찬가지다. 아직 ‘전범을 잡았다’는 말조차 없지 않나. 세월이 흐른다고 조사가 다 된 것은 아니다.

→일제의 강제 징용 규모는 얼마나 되나.

-일본군 위안부를 포함해 강제 동원된 숫자는 총 780만명인데, 한 사람이 여러 번 동원되기 때문에 중복을 제외하면 국내외 200만명으로 추산된다. 국내 75만명, 국외 125만명이다. 영화 ‘군함도’의 배경이 된 하시마섬의 탄광에는 1943년부터 1945년 사이 500~800명이 강제 동원됐다고 본다. 화장 기록을 통해 밝혀낸 조선인 사망자는 122명이었다.

→군함도에도 ‘위안부’가 있었나.

-있었다. 하시마 탄광에서 매음부를 고용했고, 도박을 장려했다고 한다. 군함도에는 일본인, 중국인, 한국인이 있었는데 그중에는 일본인 광부가 가장 많았다. 군대 위안부는 ‘종군 위안부’라고 하지만, 이곳에서는 ‘노무 위안부’라고 한다. 때문에 영화에 나온 위안부는 허구가 아닐 것이다.

→일본의 마음을 움직이려면.

-정부에선 ‘팩트’ 조사에 나서야 한다. 한·일 역사 교과서에 강제 동원 피해자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기술해야 한다. 일본의 마음을 움직이는 건 결국은 휴머니즘이다. 역사적 사실을 문화·예술적으로 승화시키며 세계인의 양심에 호소하면 일본의 진실된 사과를 이끌어 낼 수 있지 않을까.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7-08-01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