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1주일 …“식당 직원 절반은 잘라야 할 판”

김영란법 1주일 …“식당 직원 절반은 잘라야 할 판”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10-06 09:40
업데이트 2016-10-06 09: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고급식당 외에 지방 유명 식당들도 줄줄이 직격탄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 일주일이 지났다. 서울 고급 식당만 피해를 볼 줄 알았던 지방 유명 일식집 등도 직격탄을 맞아 볼멘소리다. 특히 이대로 2~3개월만 지나면 운영 어려움으로 직원 감원이 불가피하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관련 업계가 분주히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일 대전의 한 소고깃집에서 미국산 소고기와 술, 식사를 포함한 가격이 2만9천900원인 김영란 세트메뉴가 등장했다. 사진은 식당에 붙어있는 안내판. 대전 연합뉴스
‘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관련 업계가 분주히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일 대전의 한 소고깃집에서 미국산 소고기와 술, 식사를 포함한 가격이 2만9천900원인 김영란 세트메뉴가 등장했다. 사진은 식당에 붙어있는 안내판. 대전 연합뉴스
 일부 식당에서는 ‘김영란법’에 맞춘 메뉴까지 내놨지만, 점심과 저녁 예약률이 50% 이하로 줄어드는 등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겼다. 고양시 일산동구의 A 일식집 실장 임모 씨는 김영란법 시행 후 점심과 저녁 식사 예약률을 묻는 말에 한숨만 내쉬었다.

 그는 “법 시행 전 평소 점심에 80여 명이 식당을 찾았는데 지금은 절반 수준인 하루 30∼40명으로 줄었다”면서 “법이 시행되면 서울 고급 식당들 위주로 피해를 볼 줄 알았는데, 이 정도 일줄 예상도 못 했다”고 말했다.



 저녁예약률은 더 심각한 수준이다.

 직원 20여 명에 1층부터 3층까지 방 17개와 테이블 7개를 갖춘 이 식당은 법 시행 전 저녁예약이 끊이지 않을 정도로 손님이 많았다.그러나 김영란법이 시행된 지난달 28일 이후 손님이 급격히 줄어 이달 초부터 3층은 운영을 아예 하지 않는다.

 다른 지역 B 일식집도 사정도 마찬가지다. 청주 번화가에 자리 잡은 일식집에는 13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법 시행 후 요즘 절반도 안 되는 하루 20명 안팎의 손님이 찾는다는 설명이 돌아왔다. 저녁 시간에도 15개의 방 중 2곳에만 손님들이 식사할 뿐 텅 비어있다. 생선회와 초밥,소주 한 병, 생선구이, 튀김, 매운탕으로 구성된 2만 9900원짜리 ‘김영란 메뉴’를 선보였지만 아예 발길이 끊겨 이마저도 효과가 크지 않다. 법 시행 초기라 ‘한동안은 못 가겠다’ ‘몸을 사려야겠다’는 분위기가 더 강해서다. 대전의 한 고급 중식당 관계자는 “지난 1∼3일 연휴 기간 매출액이 지난달 주말 수준의 딱 절반”이라며 “법 취지는 좋게 생각하지만, 이대로 가다가는 직원들부터 감원해야 하는 상황이 나올까 우려된다”고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