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통상방법으로 부인과 검사했다면 설명의무 위반 없어”

대법 “통상방법으로 부인과 검사했다면 설명의무 위반 없어”

입력 2016-07-17 10:46
업데이트 2016-07-17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료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방법으로 부인과 암 검사를 했다면 검사 과정에서 여성 신체와 관련해 예기치 못한 피해가 일어날 수 있음을 반드시 미리 설명할 의무는 없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3부(주심 박보영 대법관)는 A(49)씨가 모 대학병원과 산부인과 의사 B씨를 상대로 “처녀막파열 위험을 설명하지 않고 자궁경부암 검사를 해 피해를 봤다”며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병원 측은 100만원을 지급하라”는 원심을 깨고 원고 패소 취지로 사건을 서울중앙지법으로 돌려보냈다고 17일 밝혔다.

재판부는 “처녀막은 신축성이 있어 의료 도구를 삽입해도 반드시 파열되거나 손상되는 것은 아니어서 검사 전에 파열의 위험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더라도 위자료 지급 대상으로서 설명의무 위반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의료기구를 직접 삽입해 병을 진단하는 방식은 자궁경부암 진단검사에서 흔히 사용하는 검사방법이기 때문에 처녀막 파열과 같은 위험성을 미리 설명해줘야 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이씨는 2009년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자궁경부암 검사를 받은 후 아랫배가 아파 다른 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처녀막이 일부 훼손됐다는 진단이 나오자 소송을 냈다.

1심은 “자궁경부암 검사는 통상 의료 도구를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 시행하고 있어 의사의 주의의무 위반이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병원의 손을 들어줬다.

반면 2심은 “의사는 삽입 검사로 인해 손상 또는 파열될 위험이 있음을 환자에게 설명해야 한다”며 1심과 반대로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1심이 옳다고 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