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성’ 4기 유방암 평균 3년 생존…12년새 2배로

‘전이성’ 4기 유방암 평균 3년 생존…12년새 2배로

입력 2016-02-16 11:44
업데이트 2016-02-16 1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암세포가 다른 장기나 조직으로 전이된 ‘4기 유방암’ 환자는 병원 치료 후 평균 3년을 생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병원 외과 문형곤 교수팀은 1998∼2010년 전이성 유방암 4기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은 환자 547명의 생존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2010년을 기준으로 4기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 생존기간은 3년으로, 암의 완치 단계로 볼 수 있는 5년 생존에는 크게 못 미쳤다.
 하지만, 평균 생존기간은 1998∼2000년대초 19개월, 2000년대 중반 24개월 이상, 2000년대 말 39개월 등으로 12년 사이에 2배 이상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팀은 국내 유방암 치료 수준의 향상과 신약 보급 확대가 생존기간 연장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했다.
 암 전이는 암이 처음 발생한 장기 이외의 다른 장기로 이동해 자라는 현상으로, 통상적으로 전이가 발생하면 완치가 쉽지 않은 4기암으로 받아들여진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진단 당시의 병기, 암의 호르몬수용체 여부, 증식성 정도, 재발까지의 기간, 전이병변의 위치와 증상 유무 등이 전이 이후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했다.
 문 교수는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암 전이 후의 생존예측 모델을 개발하고,그 유효성도 검증했다”면서 “장기생존이 가능한 환자를 선별함으로써 환자 개개인별로 맞춤화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암센터 암정복사업 및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결과는 유럽종양학회(ESMO)가 발간하는 국제 암학술지(Annals of Oncology)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