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갈등 교육계 확산…前교장-교사 찬반 성명

‘역사교과서 국정화’ 갈등 교육계 확산…前교장-교사 찬반 성명

입력 2015-09-17 14:00
업데이트 2015-09-17 1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감·교장 1천여명 “현 교과서 좌편향” vs 교사 1만5천여명 “역사 왜곡 예고”

정부가 추진하는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 전환을 둘러싼 갈등이 교육계에 확산하고 있다.

전직 교육감과 교장들은 현재 고교생이 배우는 한국사교과서 7종이 좌편향됐다며 조속한 국정화를 촉구하고 나선 반면, 교사들은 “역사를 왜곡할 수 있다”며 국정화 추진 중단을 요구했다.

전직 교장들의 단체인 전국 초중고 교장연합회와 공교육살리기교장연합은 17일 국정화 지지를 선언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일부 교과서는 경부고속도로 개통을 지역감정의 계기가 됐다고 기술할 정도로 좌경화돼 있다”며 “검인정교과서들이 대한민국의 역사를 부정적으로 기록하는 민중사관으로 단일화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검인정교과서들이) 의도적으로 근현대사에 기독교 역할을 폄하하거나 무시하고 있으며 김일성과 북한은 긍정적으로 기술하는 한편 이승만 전 대통령의 대한민국 건국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산업화는 거의 기술하지 않아 북한의 역사책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역사는 역사를 전공한 교수나 교사의 전유물이 아니다”고 못박고 “교과서의 부실과 왜곡을 정권에 대한 신임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국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정화 지지 선언 서명에 고영진 전 경남교육감, 김진춘 전 경기교육감, 최열곤 전 서울교육감 등 전직 교육감과 전직 교장들 1천여명이 참여했다.

전직 교장 10여명은 이날 오후 2시 30분께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반면, 이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는 ‘변성호 전교조 위원장 외 교사 1만5천701명’ 명의의 국정화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국정교과서 체제에 의한 역사교육은 유신시대에 도입됐으나 민주화와 함께 청산된 구시대의 유물”이라며 국정화 추진 중단을 요구했다.

이들은 “국정교과서를 검인정 체제로 되돌리는데 30여 년의 세월이 필요했다”며 “이는 민주주의 발전 과정의 산물이자 반독재투쟁의 성과”라고 강조했다.

이어 “역사는 하나의 해석에 따른 하나의 교과서로 온전하게 학습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역사의 왜곡과 역사교육의 파괴를 예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즉각 중단과 검인정교과서 발행체제 개편을 통한 교과내용 통제 시도 포기 등을 요구했다.

또 정부가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사회적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해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교조 측은 이번 선언에 전교조 소속 교사와 비조합원 교사가 모두 참여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