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래호 선체 인양 완료…선체 일부 파손

돌고래호 선체 인양 완료…선체 일부 파손

입력 2015-09-09 22:22
업데이트 2015-09-09 2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상 이유 조사 필요…해경, 사고원인 수사 본격 시작

이미지 확대
인양과정에서 부서지는듯 보이는 돌고래호
인양과정에서 부서지는듯 보이는 돌고래호 9일 오후 제주 추자도 인근 청도 해상에서 돌고래호(9.77t, 해남 선적)를 인양하는 과정이서 돌고래호가 부서지는 듯한 모습이 보이고 있다. 사진을 자세히 보면 인양하며 결박한 밧줄이 돌고래호의 선체를 파고들며 부서지고 있는 모습이 관찰된다. 2015.9.9
연합뉴스
전복된 낚시어선 돌고래호(9.77t·해남 선적) 선체가 사고 5일 만인 9일 인양됐다.

인양작업은 이날 오후 3시 50분께 150t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을 실은 바지선(동아 150호·480t)이 추자도 사고 현장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진행됐다.

크레인 바지선은 오전 6시 20분께 제주 애월항을 출항, 오후 1시께 도착할 예정이었으나 파도가 높게 이는 등 해상 날씨가 좋지않아 3시간가량 늦어졌다.

인양작업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됐다.

우선 해군 해난구조대(SSU) 등이 추자도 청도에 전복된 돌고래호 선체의 결박을 풀고 체인을 감아 크레인에 연결했다.

크레인이 체인을 감아올리자 바다에 잠겨 있던 돌고래호가 수면 위로 모습을 보이며 선체에서 바닷물이 일시에 빠졌다.

돌고래호 선수와 가운데 측면에는 무언가에 쓸려 군데군데 페인트가 벗겨졌고 구멍이 난 부분도 있었다.

또 선미 오른쪽 일부(1∼2m가량)가 파손된 것도 육안으로 확인됐다.

사고 당시 충격으로 인한 것인지 또는 표류과정에서 떨어져 나간 것인지, 인양 과정에서 생긴 것인지 등 파손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한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돌고래호는 크레인에 의해 뒤집혀진 채 바지선 위에 내려졌고 해경과 인양업체 직원 등은 파란색 방수포를 선체를 덮었다.

돌고래호 선체를 실은 바지선은 바로 하추자도에 있는 신양항으로 이동했다.

해경은 돌고래호 선체를 정밀 감식, 불법 개축이나 선체구조변경 등 사고원인에 대한 수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방침이다.

이날 수색작업 상황을 보기 위해 추자도 현지를 찾은 돌고래호 사고 실종자 가족 20여명도 해경 경비함정에서 인양작업을 지켜봤다.

인양작업과 별도로 함정과 항공기는 물론 저인망어선까지 동원돼 실종자 수색작업이 이뤄졌다.

수색에는 해경 함정 25척, 해군 함정 4척, 관공선 11척, 항공기 9대 등이 동원됐고 실종자 수중 표류에 대비해 저인망어선 16척이 추자도 주변 해역에 대한 전방위 수색을 벌이고 있다.

돌고래호는 5일 저녁 추자도 신양항에서 출항, 전남 해남 남성항으로 가다가 통신이 끊긴 뒤 11시간 가까이 지난 6일 오전 6시 25분께 추자도 인근해역에서 전복된 채 발견됐다.

해경에 따르면 돌고래호 승선 인원은 21명으로 잠정 집계됐고 이 가운데 10명이 숨진 채 발견됐으며 3명이 구조됐다. 나머지 8명은 실종 상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