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현장 팽목항 지원 예산 바닥…정부 ‘나몰라라’

세월호 현장 팽목항 지원 예산 바닥…정부 ‘나몰라라’

입력 2015-05-31 11:21
업데이트 2015-05-31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종자 가족 부스 등 시설물 임차료 체납진도군 지난해 말부터 “5억원 지원해주오”…정부 ‘묵묵부답’

지난해 4월 발생한 세월호 참사로 전남 진도지역 손실이 막대하다.

사고 당시 조업을 포기하고 구조에 나섰던 어민, 지금까지 자원봉사를 아끼지 않은 주민, 관광객 격감으로 직간접 피해를 본 음식점과 숙박업계, 수산물 판매가 줄어 수입이 뚝 떨어진 유통업계….

세월호 참사 1년이 훌쩍 지났지만 진도 세월호 시계는 현재 진행형이다.

엄청난 국가 재난 앞에 헌신하고 고통을 감수한 진도에 걱정거리 하나가 더 생겼다.

세월호 사고 수습 등을 위해 진도 팽목항 등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 관리비가 바닥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부터 관계부처에 줄기차게 국비를 지원해 달라고 요구해오고 있지만 답이 없다는 게 진도군 설명이다.

세월호 사고 직후 정부가 특별교부세 40억원을 진도군에 지원했지만 지난해 말 이미 예산이 바닥났다.

추가 지원이 끊기면서 세월호 실종자 가족과 자원봉사자가 머무는 팽목항 부스(10동) 임차료와 상수도, 전화 요금 등 6천500만원이 31일 현재 체납됐다.

주인 잃은 운동화 가방 등 세월호 희생자 유류품 1천여 점이 보관된 컨테이너에도 CCTV와 냉방시설 설치해야 하지만 예산이 없어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군 관계자는 “장마철을 앞두고 유류품에 곰팡이 등이 필 수 있어 안에 전기시설, 에어컨이 들어가야 하는데 돈이 없어 설치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차료 등을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인적이 끊긴 팽목항에 머무는 유가족 요구 사항도 들어주지 못해 안타깝다”고 하소연했다.

세월호 선체 인양이 결정되면서 팽목항에 설치된 시설물은 앞으로도 계속 이용할 밖에 없는데 수차례 특별교부세 추가지원 건의에도 정부는 여전히 묵묵부답이라고 군은 답답해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