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홍문종 ‘금품메모’ 공소시효 3년 이상 남아

홍준표·홍문종 ‘금품메모’ 공소시효 3년 이상 남아

입력 2015-04-11 13:24
업데이트 2015-04-11 1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날짜 특정할 수 있는 ‘장부’·전달자 나오면 수사 불가피

성완종(64) 전 경남기업 회장이 홍준표 경남도지사와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시기와 정황이 점차 구체적으로 드러나면서 검찰이 정식 수사에 착수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11일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은 지난 9일 숨지기 직전 인터뷰에서 홍 지사에게 2011년 5∼6월 1억원, 홍 의원에게는 2012년 대선 때 2억원을 줬다고 주장했다.

성 전 회장은 그러면서 이 돈이 각각 박근혜 당시 대통령 후보의 대선자금과 홍 지사의 한나라당 대표 경선 비용 명목이었다고 덧붙였다.

’홍준표 1억’, ‘홍문종 2억’이라고만 적혀 있는 ‘금품메모’에서 한발 나아가 돈을 건넸다는 시기와 뭉칫돈의 쓰임새가 이날 보도된 성 전 회장의 녹취록에서 더 자세히 드러난 셈이다.

별도의 ‘로비 장부’가 발견되거나 돈이 오가는 데 관여한 주변 인사가 성 전 회장의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면 본격 수사가 불가피해 보인다.

검찰은 특히 2011∼2012년이라는 시기에 주목하고 있다. 수사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공소시효 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정치자금법 공소시효는 7년이어서 3년 넘게 수사할 시간이 남아있다. 이 돈을 대가성 있는 뇌물로 본다고 하더라도 1억원 이상 수뢰죄의 공소시효는 10년이어서 시간은 더 넉넉하다.

검찰 관계자는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수사에 착수하는 과정의 걸림돌 가운데 하나로 공소시효를 들었다. ‘금품메모’에 적힌 정치권 인사 8명 중 적어도 홍 지사와 홍 의원에 대해서는 공소시효라는 법리적 장애물이 사라진 셈이다.

반대로 김기춘·허태열 전 청와대 비서실장을 향해 제기된 의혹의 경우 공소시효 문제가 수사 여부를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성 전 회장이 김 전 실장에게 미화 10만 달러를 줬다고 주장한 시기는 2006년 9월이다. 허 전 실장도 2007년으로 이미 7년 이상 지났다. 오간 돈을 불법 정치자금으로 본다면 공소시효(당시 법 기준 5년)가 이미 완성됐다. 대가성 있는 뇌물이라고 판단할 경우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죄의 공소시효인 10년이 적용될 수 있다.

미화로 받았다는 김 전 실장은 여기에 환율까지 따져봐야 한다. 2006년 당시 환율을 적용하면 한화로 1억원이 안 된다. 이 경우 뇌물이라도 공소시효가 7년으로 줄어들어 처벌할 수 없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