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게 힘든 우리 아이들

사는게 힘든 우리 아이들

입력 2014-11-05 00:00
업데이트 2014-11-05 0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업 스트레스에 ‘삶 만족도’ OECD 꼴찌

일하러 간 엄마를 대신해 오늘도 10살 수완이(가명)는 어린 다섯 동생의 밥을 챙겨 먹인다. 냉장고는 텅텅 빈 지 오래고, 먹을 거라곤 식은 밥과 라면이 전부다. 이마저도 동생들이 먹은 뒤에야 수완이는 허기를 채운다. 학기 중에는 급식이라도 먹지만 방학에는 거의 밥을 거른다. 수완이는 언제쯤 배불리 먹으며 다른 친구들처럼 ‘아이답게’ 자랄 수 있을까.


우리나라 빈곤 가구 아동의 절반 정도가 집안 형편이 어려워 밥을 굶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단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같은 빈곤 가구뿐만 아니라 일반 가구의 아동들도 8%가량이 제대로 먹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창 자랄 나이에 먹는 것을 걱정해야 하는 아이들, 아프리카 빈곤국이 아니라 대한민국 우리 이웃의 얘기다.

보건복지부가 4일 18세 미만 아동을 양육하는 4007가구(빈곤 가구 1499가구)를 대상으로 아동종합실태조사를 한 결과 빈곤 가구 아동의 42.2%가 먹을 것이 떨어졌는데도 더 살 돈이 없는 이른바 ‘식품 빈곤’ 상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향은 성장 발육이 중요한 6~11세(21.3%) 아동에게서 더욱 두드러졌다.

더 심각한 문제는 조사 대상 9~17세 아동 가운데 빈곤 가구 아동의 5.9%, 일반 가구 아동의 3.5%가 최근 1년간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한 것이다. 12~17세 전체 아동의 우울 및 불안지수는 2008년 1.21점에서 지난해 1.25점으로 상승했다.

숙제, 시험, 성적 등 학업에 치여 사는 일반 아동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9~11세 저연령대 아동의 지난해 스트레스지수는 2008년(1.82점/4점 만점)보다 0.2점 오른 2.02점을 기록했다. 숙제나 시험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난 15년간 교육과정이 14차례 바뀌면서 아이들만 죽어나고 있다”면서 “밥을 굶는 아이뿐만 아니라 일반 아이들의 행복지수도 바닥”이라고 말했다.

아동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물질적, 사회적 기본 조건의 결여 수준을 나타낸 우리나라의 ‘아동결핍지수’는 54.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아동이 얼마나 행복감을 느끼고 있는지 측정하는 삶의 만족도 측정 조사에서도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60.3점을 받아 OECD 국가 중 가장 ‘아동이 불행한 나라’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11-05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