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화물 고박부실 영향 제한적이었다”

“세월호 화물 고박부실 영향 제한적이었다”

입력 2014-10-17 00:00
업데이트 2014-10-17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해양대 교수 증언 “54도로 기울었을 때도 일부 컨테이너 버텨”

선박해양 전문가가 세월호 침몰 당시 선체의 초기 기울기를 39도로 추정했다.

한국해양대 공길영 교수는 17일 광주지법 형사 13부(임정엽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청해진해운과 우련통운 임직원 등 11명에 대한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공 교수는 마찰계수 등 이론을 적용해 분석한 결과 초기 횡경사가 39도까지 발생해 화물이 미끄러졌다고 주장했다.

공 교수는 과도한 횡경사로 화물의 이동이 불가피했지만 화물 간격이 좁아 이동거리는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사고 후 기울기가 54도인 상황에서도 선수 부분 컨테이너 중 일부는 버티고 있었으며 갑판 바닥에 미끄럼 방지와 고박을 위한 콘과 돌기가 있어 화물 이동도 제한적이었다고 그는 설명했다.

초기 횡경사가 기존에 알려진 것(30도)보다 컸고 화물 이동이 자유롭지 않아 부실한 화물 고박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는 내용의 주장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사고 직후 조타실 내 경사계를 확인한 결과 선박 기울기가 30도였다는 일부 승무원의 증언을 뒤집을 만큼 설득력을 얻을지는 미지수다.

공 교수는 우련통운 임직원 측의 신청으로 증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