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서 유해 20여구 또 발견…탄피·의복도 나와

금강서 유해 20여구 또 발견…탄피·의복도 나와

입력 2014-08-20 00:00
업데이트 2014-08-20 1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군 사용 추정 탄피 추가 확인…한국전쟁 때 숨진 듯

한국전쟁 당시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유해가 발견된 전북 익산시 망성명 금강변에서 20여구의 유해가 추가로 발굴됐다.

20일 익산경찰서에 따르면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경찰은 지난 18일 유해가 발견된 현장에서 이미 발견된 유해 외에 갯벌 속에 흩어진 20여구에 달하는 유해들을 추가로 발굴했다.

유해발굴감식단 관계자는 “발견 현장 주변에서 유해들이 여러 군데 흩어진 채 발견됐다”며 “육안으로는 20구 정도로 보이는데 정확히 몇 구인지는 정밀 감식을 해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유해들과 함께 당시 북한군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AK소총의 탄두와 탄피도 발견됐다.

또 검정 고무신과 오래된 의복 등 1950년대 것으로 보이는 유류물도 함께 발견됐다.

유해발굴감식단에 따르면 유해가 발견된 지역은 한국전쟁이 한창인 1950년 7월 17일 북한군이 강경을 점령하면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한국전쟁 당시 이곳에서는 한국군의 전사 기록은 없었지만 남하하는 북한군을 경찰 700여명이 맞서 전투를 벌였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이 전투에서는 강경 경찰서장을 비롯해 67명의 경찰관이 전사했다.

실제 이날 유류물 중에는 경찰 허리띠가 발견되기도 했다.

여러 정황으로 미뤄 이 유해들은 한국전쟁 당시 숨진 경찰과 민간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용석 유해발굴감식단 조사과장은 “강경을 점령한 북한군이 군산을 점령하기 위해 이곳을 지나치면서 무력 저항을 한 경찰과 민간인을 강둑에서 사살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후 발굴은 경찰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유해발굴감식단은 전문성 있는 업무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