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발효 식품만 먹어도 비만 걱정 없어요”

“콩 발효 식품만 먹어도 비만 걱정 없어요”

입력 2014-06-14 00:00
업데이트 2014-06-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액리놀레산 추출 2.3배로 높여…백인열 박사팀, 기술 실용화 눈앞

“앞으로 콩 발효 식품만 꾸준히 먹어도 비만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백인열 농촌진흥청 두류유지작물과 과장
백인열 농촌진흥청 두류유지작물과 과장
농촌진흥청 두류유지작물과 과장으로 근무하는 백인열(51) 박사와 연구팀은 최근 콩에서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는 공액리놀레산을 기존 방법보다 2.3배로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공액리놀레산이란 콩기름의 50%를 차지하는 리놀레산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2009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과체중인 성인의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정받은 기능성 원료다. 하지만 콩에서 천연 공액리놀레산을 만들기가 쉽지 않았다. 그동안은 강(强)산, 강(强)염기를 합성해 화학약품 처리를 해야 공액리놀레산을 만들 수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건강에 좋지 않은 트랜스지방산이 나왔다.

연구팀은 2011년 콩에 있는 리놀레산을 천연 공액리놀레산으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후 전통 발효 식품에서 300여종의 유산균을 분리해 시험한 결과 락토바실루스균 2종이 공액리놀레산 생산율을 기존의 70㎍/㎖에서 160㎍/㎖로 높인다는 사실을 발견해 최근 특허를 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먹기만 해도 몸무게를 줄일 수 있고 건강에 무해한 콩 발효 식품을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현재 식품업체와 기술 이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작물 품종 육성을 전공한 백 박사는 1990년 농진청에 입사해 콩에서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고 건강식품으로 개발하는 데 전념해 왔다.

백 박사는 “체지방을 줄이는 콩요구르트, 콩고기, 콩치즈 등을 만들고 리놀레산 함량이 더 많은 신품종도 개발할 계획”이라면서 “농가 소득을 올리고 국산 콩 소비를 늘리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6-14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