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원 운석 국내에 있는데 운석 주인은 왜 일본인?

두원 운석 국내에 있는데 운석 주인은 왜 일본인?

입력 2014-03-17 00:00
업데이트 2014-03-17 14: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원 운석.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두원 운석.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두원 운석’ ‘진주 운석 가치’

진주에서 발견된 암석 2개가 모두 운석으로 확인된 가운데 이전까지 국내에 떨어진 유일한 운석이었던 두원 운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두원 운석은 1943년 11월 23일 오후 3시 47분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에 떨어진 질량 2.117kg의 석질 운석이다. 당시 두원공립보통학교의 일본인 교장이 갖고 있다가 해방 이후 일본으로 반출해 일본 국립과학박물관에 보관되었다.

이민성 전 서울대 교수가 1994년 두원운석에 대한 정보를 입수해 세상에 그 존재가 널리 알려지게 됐다. 1998년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일본 관련 기관에 반환을 공식 요청하여 1999년 영구임대 형식으로 돌려받았다.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두원운석은 태양계의 기원과 생성, 변천과정 등 기초적 우주과학 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석질 운석으로서 구립 알갱이인 콘드룰을 함유하는 콘드라이트구조를 보이며 철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변성 정도가 높아 운석 분류상 L6 콘드라이트(chondrite)에 속한다.

한편 이번에 발견된 진주 운석 가격이 10억원에 달한다는 등의 소문으로 국제 운석 사냥꾼까지 나타나는 등 진주 운석 가치에 대한 관심이 과열되자 문화재청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문화재청은 경남 진주에서 잇따라 발견된 운석을 문화재보호법이 규정하는 ‘문화재’ 중 기념물로 보아 천연기념물 지정 등을 통한 적극적인 보호조치에 착수하기로 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해당 운석에 대해서는 당연히 관련 전문가의 검토와 이를 토대로 하는 문화재위원회의 판단이 있어야 (천연기념물) 지정 여부가 판가름난다”면서도 “하지만 우리로서는 운석이 희귀한 이상 우선은 해외 반출 등에 대비한 행정조치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