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주민등록 전면개편 포함 모든 대체수단 모색”

유정복 “주민등록 전면개편 포함 모든 대체수단 모색”

입력 2014-02-14 00:00
업데이트 2014-02-14 1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주민등록번호 유출에 따른 불안을 없애고자 주민등록제도 전면개편을 포함해 모든 대체수단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14일 업무보고에 앞서 전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연 ‘2014년 안전행정부 업무추진계획’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지자체 파산제도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다음은 유 장관과 일문일답.

-- 주민등록 제도 개선 방향은.

▲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주민등록제도를 전면 개편하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고 휴대전화 인증이나 공인인증서, 아이핀, 주민등록증 발행번호 등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검토할 계획이다. 다만, 주민등록제도는 현실적으로 주소확인뿐 아니라 병역·조세·금융·복지·정보인프라로 쓰여 전면개편 시 사회적 혼란과 불편이 우려되는 만큼 깊이 있게 검토하겠다. 주민등록번호가 수집 활용되는 것은 엄격하게 법령에 근거해서만 할 수 있도록 하고 위반시 제재와 처벌수단을 강화하겠다.

-- 어린이 사망률을 어떻게 절반으로 낮출 계획인가

▲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10만명당 사망자수를 4.3명에서 2017년 2명 수준으로 낮추려 한다. 어린이 사망사고의 40%는 교통사고인데, 학교주변을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으로 지정하고, CCTV를 늘려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대폭 줄이겠다.

-- 공무원 연금 개혁은 어떻게 하나.

▲ 정부가 계속 재정지원을 해야 해 국민부담이 커지고 있다. 연금개혁을 위한 준비단을 구성해 올해 개혁방안을 만들어나갈 계획인데, 아직은 너무 모호해 이번 대통령 업무보고에서는 제외했다.

-- 지자체 파산제를 도입하면 주민에게 피해가 가지 않나.

▲ 지자체 파산제는 민간부문의 파산제와 같은 형태의 파산제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자체가 해산될 수 없다. 지역주민에게 책임을 전가하기보다는 지역주민을 보호하고 잘못된 재정운영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는 예방적 장치다. 파산을 지자체의 신청에 의해 할지, 객관적 판단기관을 둘지, 파산이 되면 중앙정부나 시도에서 관재인을 파견할지, 지방의회에서 선임할지도 연구가 필요하다.

-- 이미 지방재정위기관리제도를 운용 중인데 이중규제 아닌가.

▲ 현행 제도로 빚을 갚지 않는 지자체를 어떻게 하기는 어렵다. 지자체 파산제는 지자체장이 재정운영을 잘못할 때 이를 막는 최후의 제재수단이다. 불필요한 자산매각이나 부채감축을 하지 않고, 선심성 행정을 하면 재정운영의 건전성을 회복하는데 한계가 있다. 파산제는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역주민들을 보호하는 사전적 예방조치다. 지자체장 통제가 목적이 아니다.

-- 지자체 파산제는 반발이 예상되는데.

▲ 지자체가 자율성과 자기책임성을 확보해야 지방자치가 발전한다. 사전에 충분히 잘 이해되도록 하겠다. 결코 통제나 권한행사가 아니라 국민이 염려하는 지방재정을 건실하게 운용하려는 것이다.

-- 지자체별 안전등급을 평가하는 데 대한 반발은

▲ 납득 가능한 등급체계를 갖춰나가겠다. 안전 확보가 목적이다. 등급을 매겨 상주고 벌주는 게 목적이 아니다. 행정의 가장 기본은 통계다. 안전지도와 지수 등을 통해 정확한 실태를 확인해서 안전정책을 제대로 해나가겠다.

-- 가스·전기 검침원이나 택배원 방문 때 사진을 미리 보내는 서비스는 해당 업종을 잠재적 범죄자로 모는 것 아닌가.

▲ 전면 시행하는 게 아니라 협의하에 추진하면서 자연스레 확산하도록 하겠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