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야구특기생 대입비리 대학감독 등 26명 적발

검찰, 야구특기생 대입비리 대학감독 등 26명 적발

입력 2013-03-21 00:00
업데이트 2013-03-21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고대 등 대학 7곳, 프로 감독·선수 출신 12명 연루

학부모들에게 돈을 받고 고교 야구선수를 대학에 입학시킨 혐의로 유명 대학과 수도권 고교 야구감독 등 26명이 적발됐다.

인천지검 특수부(황의수 부장검사)는 21일 야구특기생 대입비리 사건 수사결과 브리핑을 열고 배임수재 등 혐의로 12명을 구속, 13명을 불구속 기소하고 1명을 기소중지했다고 21일 밝혔다.

양승호 롯데자이언츠 전 감독은 고려대 야구부 감독이던 2009년 “대학에 입학시켜달라”는 청탁과 함께 서울 모 고교 야구부 감독을 통해 학부모로부터 1억원을 받고 학생을 입학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

천보성 한양대 전 감독과 정진호 연세대 감독은 학부모로부터 입시 청탁과 함께 각 1억3천만원과 3천만원을 받고 학생을 대학에 입학시켰다.

이광은 LG 트윈스 전 감독은 연세대 감독 시절 고교 학부모로부터 3천만원을 받고 학생을 입학시킨 혐의 등으로 적발됐으나 도주, 현재 기소중지 상태다.

기소된 대학 감독 상당수는 학부모에게 직접 또는 고교 야구부 감독을 통해 학생 1인 당 2천500만∼1억원의 거액을 받고 선수를 대학에 입학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야구협회 심판위원 등이 브로커로 활동하며 고교 감독과 대학 감독을 연결시켜주고 대학 감독 앞으로 나온 돈을 나눠 갖거나 실제 입학시킬 능력이 없으면서 돈을 받아 적발된 경우도 있었다.

야구특기생 대입비리 사건에 연루된 대학은 연세대와 고려대, 단국대, 동국대, 동아대, 한양대, 경희대의 7곳이다.

대학 전·현직 감독 8명과 대한야구협회 심판위원을 포함한 브로커 5명, 고교 야구부 감독 4명, 학부모 9명이 적발됐다. 이 가운데 프로야구 선수 또는 감독 출신은 12명에 이른다.

검찰은 이 같은 비리가 야구특기생 선발과정이 형식상의 입학 전형을 거칠 뿐 대학 감독 1명이 사실상 선수 선발의 전권을 행사하고 사전 스카우트를 통해 내정한 고교 선수가 선발되는 구조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또 고교 야구 감독은 대부분 계약직으로 선수의 명문대 진학 여부 등에 따라 계약 갱신이 결정되므로 학부모들이 입시 청탁하는 경우 거절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수사가 시작되자 대한야구협회(KBA)는 검찰에 공문을 보내 야구 지도자가 입시 관련 금품수수나 승부조작 등 비리 행위가 적발돼 100만원 이상 벌금이나 집행유예를 선고받으면 최장 10년간 활동할 수 없도록 자격 요건을 강화하고 열악한 아마추어 야구계에 대한 예산 지원책도 마련하기로 약속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