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도 사교육 열풍… 年 2조 7000억

영유아도 사교육 열풍… 年 2조 7000억

입력 2012-12-25 00:00
업데이트 2012-1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상보육이 시행되고 있는데도 영·유아를 둔 부모들이 학습지, 놀이학교, 문화센터 등 사교육에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부족한 데다 이런 시설의 교육 및 보육서비스가 부모들의 기대에 못 미치는 탓으로 분석된다.

24일 육아정책연구소의 ‘영·유아 보육·교육 비용 추정 및 대응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영·유아 3392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만 0~2세 영아를 키우는 부모의 41.9%, 만 3~5세 유아를 키우는 부모의 86.8%가 유치원과 어린이집 정규비용 외에 사교육비를 추가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0세아 중에서는 16.9%만 사교육비를 지출했지만 이 비율은 1세아(40%), 2세아(70.2%), 3세아(80.2%), 4세아(89.5), 5세아(91.1%) 등 연령에 따라 높아졌다. 영·유아 1인당 평균 사교육비는 월 8만 1000원이었으며 사교육비를 실제로 지출하는 영·유아만 따로 계산하면 1인당 월 12만 5700원을 지출했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지출하는 액수도 높아져 만 5세 중 월 30만원 이상 지출한다는 비율이 14.6%에 달했다.

조사대상 아동 중 57.5%가 어린이집, 20.0%가 유치원에 다니는 등 정부가 비용을 지원하는 보육시설이나 교육기관에 다니는 영·유아는 77.5%였다. 그 밖에 적지 않은 영·유아들이 학습지(30.5%), 시간제 학원(8.2%), 문화센터(6.4%) 등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이 산출한 영·유아 사교육비 규모는 총 2조 7349억원으로, 총 교육·보육 비용의 절반 정도인 48.8%에 달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0.22%다.

보고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특별활동을 정규 프로그램으로 흡수하고 교사의 역량을 강화해 교육과 보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면서 “국공립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확충해 일정 수준의 아동 보육과 교육은 공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2-12-25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