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무 중 학점이수 병사 100명 중 1명

군복무 중 학점이수 병사 100명 중 1명

입력 2012-09-23 00:00
업데이트 2012-09-23 08: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 복무 중 대학학점 취득 제도가 도입된 지 6년째 됐지만 이수자가 병사 100명 중 1명꼴에 불과할 정도로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강은희 의원(새누리당)이 23일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사이버 학점이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군 복무 중 학점취득을 위한 원격강좌를 수강한 병사는 모두 5천547명으로 전체 현역병사(45만3천여명)의 1.2%에 불과했다.

학점이수자 수는 2009년 1천257명, 2010년 3천833명, 올해 1학기 3천184명으로 최근 4년간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전체 현역병 수에 비하면 여전히 미미한 정도다.

2ㆍ3년제 또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현역병 수 36만3천명(전체의 80.1%)과 비교해도 비율이 1.5%에 그쳤다.

군 복무 중 대학학점 취득제는 국가 인적자원 개발과 병영문화 개선, 병사 자기계발, 복무만족도 증대를 위해 도입된 제도로, 미국 등 여러 나라 군에서도 활성화돼 있다. 한국은 2007년 제도를 처음 도입했다.

병사 참여율이 저조한 이유로는 강좌를 개설한 대학이 적고 병사들의 학습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3월 기준으로 군대에서 수강할 수 있는 원격강좌를 개설한 대학(2ㆍ3년제 포함)은 77개교에 그쳤다.

특히 중앙대(3개), 한양대(8개)를 제외하고는 강좌를 개설한 서울 주요 대학이 없었다.

개설강좌 수로 보면 서울디지털대(451개), 원광디지털대(226개), 사이버한국외대(203개) 등 사이버대학의 강좌가 많았으나, 그 밖의 대학은 비용 등을 이유로 주로 10개 미만의 강좌만 개설했다.

강 의원실 관계자는 “교육과학기술부는 주무 부처가 국방부라며 별다른 조치를 내놓지 않는 실정”이라며 “대학의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거나 병사들의 수강료 부담을 경감하는 등 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