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CNK의혹’ 이호성 前카메룬 대사 재소환

檢 ‘CNK의혹’ 이호성 前카메룬 대사 재소환

입력 2012-02-15 00:00
업데이트 2012-02-15 1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금 제련업체 압수수색

씨앤케이(CNK)인터내셔널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윤희식 부장검사)는 15일 주 카메룬 대사관 서기관의 이름을 빌려 CNK 관련 보고서를 외교통상부에 보낸 의혹을 받는 이호성(57) 전 카메룬 대사(현 콩고민주공화국 대사)를 전날 다시 불러 조사했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추가로 보완 조사할 게 있어 어제 2차 소환했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지난 9일 1차 소환을 받은 뒤 계속 국내에 머물러 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사는 2010년 카메룬 대사관에서 CNK가 개발 중인 현지 광산의 다이아몬드 매장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내용의 보고서를 외교부 본부에 보낼 당시 대사관 1등 서기관이던 이모씨 이름을 차용한 의혹을 받고 있다.

이 보고서는 2010년 12월17일 외교부가 배포한 CNK 보도자료의 근거가 됐다. 김은석(54) 당시 외교부 에너지자원대사는 이 전문을 바탕으로 보도자료 작성을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사는 그러나 검찰 조사에서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2차 조사 결과를 검토해 이 대사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할지 판단하기로 했다.

검찰은 전날 CNK 전 상근감사 서모(57)씨와 경영관리 상무이사 김모(47)씨도 연이틀 소환해 참고인 조사를 벌였다.

서씨는 청와대 경호과장 출신으로 김 전 대사와 조중표(60) 전 국무총리실장 등을 오덕균(46) 대표에게 소개한 인물로 알려졌다.

서씨는 외교부가 CNK 카메룬 광산 개발권 취득과 관련한 보도자료를 배포한 이후인 지난해 1월 소유주식 5만주를 매각해 시세차익을 남긴 의혹을 받고 있다. 김씨는 회사에서 공시를 담당한 인물로 알려졌다.

검찰은 두 사람을 상대로 CNK의 개발권 획득 및 보도자료 배포, 공시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의문점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검찰은 CNK가 카메룬에서 채굴해 국내에 들여오는 사금을 제련·판매해온 업체 G사를 이달 초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오 대표가 이 업체와 거래하는 과정에서 회사자금을 빼돌린 정황 등을 포착하고 관련 자료를 검토 중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