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전문가들 “언어 작년보다 쉬워”

입시전문가들 “언어 작년보다 쉬워”

입력 2011-11-10 00:00
업데이트 2011-11-10 1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일 치러진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1교시 언어영역이 지난해 수능보다 쉽게 출제됐다고 일선 교사들과 학원들이 평가했다.

수능출제본부가 EBS 교재와의 연계율이 74%로 작년(72%)보다 높으며, 작년 수능시험보다는 쉽고 9월 모의평가보다는 약간 어렵게 출제했다는 설명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배명고 강인환 교사는 “작년 수능보다는 쉽고 9월 모의평가보다는 까다롭게 느끼는 학생이 많았을 것 같다”며 “문학, 비문학 배점도 비슷하고 전체 틀에서 볼 때 무난하다. 작년보다 1등급 컷이 1~2점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 교사는 “문학은 비교적 괜찮을 것 같고 비문학도 ‘외부성 효과’ 지문이 EBS교재 연계를 체감할 수 있게 지문과 출제 문항이 거의 유사하다”며 “EBS 문제를 비틀어 내기보다 내용이 어려운 편인 지문을 낸 것 같다”고 말했다.

인창고 임병욱 교사도 “문학 6문항 중 5문항이 EBS교재에서 나왔고 특별하게 어렵다거나 비틀어서 낸 문제가 없었다”며 “9월 모의평가 때 만점자 비율이 1.8%였는데 이번에도 무리 없이 1% 이상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용인외고 김기훈 교사는 “실수하지 않으면 상위권 학생이 만점을 맞을 수 있을 것”이라며 “문학 14번 이태준의 ‘돌다리’는 EBS 문제와 동일하고 문학의 비연계 지문인 김동환의 ‘산넘어 남촌에는’도 평이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사들은 비문학, 문법, 쓰기 문항이 약간 까다로울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올해는 EBS교재와의 연계도를 유지하면서도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서로 다른 EBS 교재에서 문제를 통합 재구성한 문항이 여럿 출제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꼽았다.

인천 연수고 김성길 교사는 “문학과 비문학 모두 지문 6개 중 5개가 연계됐고 1개는 비연계 지문이었다”며 “연계 지문도 지문을 그대로 쓰기보다 서로 다른 EBS 교재에서 둘 이상의 지문을 통합 재구성해 출제됐다”고 말했다.

그는 “문학 지문은 전반적으로 평이했으나 비문학 지문이 다소 어렵게 느껴졌을 수 있다. EBS 연계 지문에서도 통합 재구성한 지문이 있어 아이들이 다소 어렵게 느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강인환 교사는 “비문학의 ‘양자역학’ 지문과 비트겐슈타인의 ‘논리 철학 논고’ 지문은 학생들이 꺼리는 성격의 지문”이라며 “상위권 학생은 큰 무리가 없지만 중하위권 학생은 시간 배분을 잘못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EBS 교재와의 연계율은 높아졌지만 학생들의 체감 연계율은 다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중대부고 이금수 교사는 “깊이 공부한 학생과 한번 훑어본 학생들은 EBS 체감 연계율이 다를 것”이라며 “숙지 정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EBS 비연계지문인 21~24번 기술 제재 ‘청각 체계에서의 음원 원리’ 지문이 어려웠기 때문에 1%를 가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학원들도 작년 수능보다 쉽게 출제됐다는 의견은 일치했지만 쉬운 정도에 대해서는 평가가 일부 엇갈렸다.

이투스청솔은 “9월 모평보다 어렵고 작년 수능보다 약간 쉬워서 만점자 1%는 안 나올 수 있을 것 같고 원점수도 2~3점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며 “학생들도 시간을 거의 맞춰 풀었다고 하니 작년보다 약간 쉬운 것 같다”고 말했다.

유웨이중앙은 “EBS교재에 실린 지문이 많이 나왔지만 상위권을 변별하는 어려운 문제가 9월 모평보다 1~3문항 더 나온 것 같다”며 “쓰기에서 신유형 문제가 많았고 비문학도 약간 까다로웠다”고 말했다.

비상에듀는 “작년 수능보다 많이 쉬워서 만점자 비율이 1%는 충분히 넘을 것 같다. 1등급컷이 작년보다 올라 올해 96~98점까지 갈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진학사는 “작년 수능보다 다소 쉽고 9월 모평과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8~10점까지도 오를 것으로 보이며 만점자 1%도 가능할 것”이라며 “문학보다 비문학이 어렵고 비트겐슈타인의 ‘논리 철학 논고’ 등 인문 지문이 어려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